보수야당 “의원들 의견 수렴”… ‘회군’ 가능성에 무게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13일 자진사퇴했다.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 고용부 장관에 지명된 지 33일 만이다.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가 청와대에서 문 대통령을 만나 여야 협상 결과를 전달한 뒤다.
조 후보자는 이날 문자메시지를 통해 “본인의 임명 여부가 정국 타개의 걸림돌이 된다면 기꺼이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 사퇴의 길을 택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 선택이 부디 문재인 정부의 성공에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조 후보자는 고려대 노동대학원장을 지내다 새 정부 초대 고용부 장관으로 발탁됐으나, 음주운전을 둘러싼 허위해명 의혹과 한국여론방송 사외이사 겸직문제 등이 문제가 되면서 지난달 30일 국회 인사청문회 후에도 야당의 사퇴압박이 이어졌다.
‘조대엽 낙마’는 최근 얼어붙은 정국에 물꼬를 트기 위한 문 대통령과 민주당 지도부의 궁여지책이라는 평가다.
반면 문 대통령은 조 후보와 함께 야당으로부터 사퇴압력을 받았던 송영무 국방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장관 임명을 강행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엄중한 국내외 상황에서 흔들림 없는 국가안보를 위해 국방부 장관 임명을 더는 미룰 수 없는 입장을 이해해 주실 것을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대통령은 군 통수권자로서 무엇보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할 막중한 책임을 지니고 있다”면서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송 후보자에 대한 여러 가지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던 것을 잘 알고 있으며, 후보자의 도덕성과 전문성을 철저히 검증하고자 한 국회의 노력을 존중한다”며 문 대통령의 뜻을 전했다.
야권은 이러한 문 대통령의 결정과 관련해 비판 공세를 취하면서도 일단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겠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했다.
다만 앞서 국민의당이 국회 일정에 정상적으로 참여키로 한 가운데 보수야당은 두 후보자 중 한 명이 낙마하면서 일단 ‘회군’의 명분은 생긴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추가경정예산안 심사,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 등에 전향적인 자세를 취할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송 국방부 장관과 함께 정현백 여성가족부장관, 유영민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에게도 임명장을 수여했다.
강해인·구윤모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