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 상봉도 2년만에 재개 예상
두 회담의 제안은 문 대통령이 지난 6일 독일에서 밝힌 ‘신(新) 한반도 평화비전’, 이른바 ‘베를린 구상’에서 제시한 사항들을 이행하기 위한 것이다.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베를린 구상’에서 휴전협정 64주년인 오는 27일을 기해 “군사분계선(MDL)에서의 적대 행위를 상호 중단하자”고 제안했고 ‘10·4 정상선언’ 10주년이자 추석인 10월 4일에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하자고 손을 내밀었다.
국방부 서주석 차관은 17일 국방부 청사 기자회견에서 “군사분계선에서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일체의 적대행위를 중지하기 위한 남북 군사 당국회담을 오는 21일 판문점 북측 지역 통일각에서 개최할 것을 북측에 제의한다”고 밝혔다.
서 차관은 이 자리에서 “이에 대한 후속조치로 국방부는 군사 분계선에서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일체의 적대행위를 중지하기 위한 남북군사 당국회담을 오는 21일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개최할 것을 북측에 제의한다”고 말했다.
회담이 열리면 남북이 각각 진행하고 있는 확성기 방송 중단과 전단 살포 문제 등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도 2년 만에 재개될 전망이다.
이날 대한적십자사도 오는 10월 4일 추석을 계기로 제21차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개최하기 위해 오는 8월1일 판문점 우리 측 지역 평화의 집에서 남북 적십자회담을 하자고 전격 제의했다.
정부의 제안대로 올해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열리면 1985년 행사가 시작한 이후 21번째다. 또 지난 2015년 박근혜 정부에서 상봉행사를 개최한 뒤 2년 만에 재개다. 상봉이 성사되면 지금까지처럼 면회소가 위치한 금강산에서 열릴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금강산 관광 재개를 놓고 남북의 입장차가 크고, 북한이 일부 탈북민의 북송을 요구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현재 우리 쪽 상봉 신청자는 13만여 명이며 이중 생존자는 6만여 명에 불과하고 그 중 63%가 80대 이상으로 매년 3천여 명이 사망해 시간이 촉박하다는 설명이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브리핑에서 “이산가족 상봉은 어떤 정치적 고려보다도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하면서도 “남북이 마주 앉는다면 상호 관심사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수 있다”고 대화의 문을 열어놨다.
조 장관은 이날 발표문을 통해 ‘베를린 구상’ 후속 조치로 북측에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적십자회담과 군사분계선상 적대행위 중지를 위한 남북군사당국회담을 제안한 것과 관련 “두 사안은 한반도 긴장완화와 남북협력을 위한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