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 획정·선거연령 18세 하향 조정 등 쟁점
여야 합의로 설치되는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 위원장에 더불어민주당 원혜영 의원(5선, 부천 오정)이 사실상 내정됐다.
정치권에서 선거제도 개편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정개특위가 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19일 민주당 등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여야 원내대표 간 합의에 따라 여야 동수로 구성되는 정개특위의 여당 몫 위원장에 원 의원이 내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원 의원은 그동안 현행 선거제도가 표의 등가성과 국민 대표성을 제대로 담보하지 못했다며 개편 필요성을 강조해 온 대표적인 선거제도 개혁론자다. 앞서 그는 올해 초 ‘선거제도 개혁 그리고 개헌’ 토론회를 열고 “기득권을 내려놓고 선거제도 개혁에 즉각 나서야 한다”며 “필요하다면 국회에 선거제도 전반에 관해 심도 있게 논의할 수 있는 기구를 구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런 가운데 이번에 구성되는 정개특위에서는 득표율에 따라 의석수를 배분하는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등과 소선거구제에서 중대선거구제로의 개편 등이 각각 의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1년도 채 남지 않은 지방선거와 관련해서는 광역·기초의원 선거구 획정 문제가 가장 시급하게 다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선거구 획정의 경우 내년 지방선거에서 경기도의회와 각 시·군의회의 정치지형 변동을 불러올 수 있어 쉽지 않은 과정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선거연령 18세 하향 조정과 교육감 선거 문제 역시 정개특위가 넘어야 할 산으로 꼽힌다.
김만흠 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은 “정세균 국회의장을 중심으로 개헌과 맞물려 선거구제 논의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며 “다만 정당별로 각자의 이해관계가 다른 만큼 합의가 이뤄질지는 두고봐야 한다”고 진단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