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째 침수 피해 되풀이 인천시 재난안전 ‘불감증’

市, 피해 원인·현황 제대로 파악 못하고 날씨 탓만
상습 침수지역 구청과 의견차… 재발방지 대책 손 놔

인천시가 20년째 집중호우 상습피해 발생지역에 대한 재발방지 대책에 손을 놓고 있는가 하면, 비 피해 상황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등 재난안전 불감증을 드러내고 있다.

 

시 재난대책본부는 24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지난 23일 집중호우로 인천지역 피해 원인 및 현황보고 브리핑을 가졌다.

 

이날 브리핑에서 시는 지난 1994년 집중호우로 재난피해가 발생한 뒤 올해까지 피해가 반복돼 온 동양장사거리 일대에 대한 집중호우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시는 상습 침수지역인 동양장사거리 첫 수해 피해 발생 20년만인 지난 2015년에 재발방지 대책을 처음 논의했지만 해당 구청과의 의견 차 등으로 추진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시는 당시 동양장사거리 관할 구청인 남구와 침수 재발방지를 위해 저류시설 및 펌프장 신설을 비롯해 풍수해위험지구 지정 등의 대책을 논의했으나, 이행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당시 남구측에서 동양장사거리를 풍수해위험지구로 지정하면 주민들의 지가 하락 등 민원 발생 우려가 있어 추진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시는 또 이날 브리핑에서 전날 집중호우 피해원인 및 피해현황 등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재난컨트롤 타워 구멍을 여실히 보여줬다.

 

시는 “전날 집중호우 당시 배수펌프 가동이 되지 않은 것 아니냐”는 기자의 질문에 대해 “배수펌프 가동은 군·구에서 시행하고 있어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또한, 이번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에 대해서도“예상하지 못한 폭우가 급작스럽게 시간당 최대 100㎜가 내려 피해가 커진 것 같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게다가 연수구 선학동과 연수동 등에서 발생한 3건의 주택침수에 대해서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시의 한 관계자는“ 장기 상습 비 피해 지역에 대한 점검을 통해 재발 방지를 위한 시설을 정비하고 군·구 등과 협의해 하수관로 청소 등 정비를 해나갈 방침”이며 “피해 복구를 최우선으로 추진 중에 있으며, 집중호우 피해로 집을 잃은 이재민 생활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호물품 지원 등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집중호우로 이재민은 남구 4세대(7명), 남동구 5세대(11명), 서구 4세대(7명), 부평구 2세대(2명) 총 15세대(27명)가 발생했다. 또 남동구·남구·부평구 등 원도심을 중심으로 반지하 주택과 상가 등 2천345채(주택 1천930건, 상가 141건, 공장 27건)가 침수 피해를 입었다. 지역별 피해접수는 부평구 655건, 남동구 652건, 남구 525건, 서구 439건 등 이다.

 

시는 집중호우로 피해가 발생한 세대에 재난지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집중호우로 인해 집에 빗물이 들이쳐 숨진 A씨(96)에게는 1천만원이 지원되며, 주택 전파·유실 900만원, 반파 450만원, 침수 100만원이 지원된다.

허현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