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세계적인 대기오염으로 인해 연간 650명이 조기 사망하고 있으며 이 중 90~95%는 미세먼지(PM2.5)가 직·간접적 원인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 취약계층인 학생들이 안전하게 공부할 수 있는 학교 환경을 마련해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정부는 당초 이번 추경안에 학교 미세먼지 대책으로 미세먼지 간이측정기 예산 90억 원을 반영했으나 일부 의원들의 반대로 전액 삭감됐다. 이에 김 의원은 야당 의원들을 지속적으로 설득, 공기정화장치를 초등학교에 한해 추가로 설치하고 관련 연구용역에 필요한 예산 90억 원을 반영하는 데 성공했다.
여기에 특별교부금 90억 원이 보태져 총 180억 원 규모로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 노출 정도가 높은 전국 초등학교 350여 곳에서 공기정화장치 설치 시범사업이 연내에 시행될 전망이다.
이오 함께 김 의원은 노후 공공임대주택 시설 개선 사업비도 확보하는 성과를 냈다. 공공임대주택의 경우 20여 년이 넘었지만 관련 예산이 부족해 시설 개선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등 주거 환경이 열악한 실정이다.
김 의원은 이번 추경에 250억 원 규모의 공공임대주택 시설 개선 사업비 증액 의견을 제출했고 초당적인 공감대가 형성, 50억 원이 추가된 300억 원이 반영됐다.
김 의원은 “미세먼지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하고 서민층이 거주하는 공공임대주택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예산을 확보한 데 대해 보람을 느낀다”며 “앞으로도 서민이 안심하고 더 나은 생활환경에서 살 수 있도록 의정 활동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