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돼지 소모성 질병 피드백사업을 통해 양돈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어 주목이다.
경기도동물위생시험소는 25일 올해 상반기 양돈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돼지농장 82곳과 도축장 7곳의 돼지 8천여 두에 대해 돼지 소모성 질병 방제 피드백 사업을 추진했다고 밝혔다.
돼지 소모성 질병 피드백사업은 양돈농가에서 흔히 발생하는 호흡기 질병에 대해 사육단계별 혈청검사와 도축장에 출하되는 돼지의 병변 검사를 병행해 실시한 뒤 질병 예방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농가에 제공하는 것이다.
시험소는 올해 상반기 양돈전문수의사와 양돈협회 등과 함께 피드백 사업을 추진, 농장 82곳 3천301두에 대해 혈청검사를, 도축장 7곳 돼지 4천830두에 대한 병변검사를 실시했다.
혈청검사 결과, 질병별 항체 양성율의 경우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은 75.5%, 써코바이러스2형(PCV2)은 93.2%, 마이코플라즈마는33.2%, 흉막폐렴은 60.0%, 파스튜렐라는 89.4%, 글래서병은 52.1%, 살모넬라는 51.3%, 구제역SP 68.2% 로 나타났다.
돼지 생식기 호흡기증후군의 바이러스 검출은 4.5%(16년 7.1%)가 검출됐으며 주로 비육단계인 40일, 70일령에 가장 많이 감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써코바이러스와 돼지 생식기 호흡기증후군은 돼지농가의 생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질병이다.
또한, 흉막폐렴, 살모넬라 감염증 발생도 빈번히 나타나 농가의 예방관리가 요구됐다.
도축장 병변검사에서는 유행성 폐렴이 46%, 흉막염이 19.3%, 흉막폐렴이 8.1%, 심외막염이 4.8%, 간회충증이 0.6%, 옴 4%로 나타났다. 이중 간회충중, 옴 등은 지난 2016년 각각 7.1%, 6.7%로 감소했다.
시험소는 최근 열린 양돈농가 생산성 향상 지도지원협의회에서 이 사업의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임병규 도동물위생시험소장은 “양돈농가 생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소모성 질병에 대한 방어가 중요하다”며 “예방을 위한 맞춤형 질병검사 및 컨설팅을 통해 농가 소득증대에 이바지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정일형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