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지역경제 효자… GO!”
民 “환경피해 우려… NO!”
국내 최대 중고차 수출기지 ‘첨단클러스터’ 조성을 둘러싸고, 인천시ㆍ인천항만공사와 연안부두 주민간 마찰을 빚고 있다. 양쪽의 입장을 들어봤다.
◇인천시, 인천항만공사
인천시와 인천항만공사는 전국 중고차 처리량의 86%, 연간 20만대 중고차를 수출입하는 인천시 자동차 산업을 친환경 선진 비즈니스 모델로 탈바꿈하고자 지난해 6~12월‘자동차물류클러스터 조성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을 실시했다.
용역결과, 자동차 클러스터 사업은 남항부두 일대의 컨테이너 야적장 부지를 활용해 39만6천㎡ 규모로 3단계에 걸쳐 조성되며, 주차타워·경매장·검사장·세차장 등 최신식 인프라가 배치하는 안이 선정됐다.
자동차 클러스터 사업을 통해 ▲1천억원의 생산유발효과▲ 600여명의 신규 일자리창출▲연간 12만대의 교통량 감소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됐다.
남항일대 교통 혼잡의 경우, 교통량은 카케리어를 이용할 경우 현재 16만대(트레일러)에서 4만대(카케리어)로 대폭 감소될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매매단지의 상주인구 2천여명과 고객 등 1일 3천여명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했다.
◇ 연안부두 지역주민
그러나 인천 연안부두, 남항 인근 주민은 이 프로젝트에 반대하고 있다.
주민들은 중구 일대 주거·상업지와 석탄 부두, 모래부두 등 항만 물류시설이 너무 인접한 탓에 수십 년간 환경피해를 봐 왔다.
여기에 자동차 물류단지가 들어서면 교통난과 환경피해를 가중할 것이란 이유에서다.
중구의회는 지난 3월 자동차 물류클러스터 조성 반대 공식 결의문을 채택하기도 했다.
이들은 결의문에서 “물류산업시설을 주거지와 분리해 도시 외곽으로 이전하는 세계적 추세를 고려해 인천 연안부두 일대는 주민을 위한 친수복합항만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인천항만공사(IPA)는 주민의 가장 큰 걱정인 교통 혼잡을 오히려 완화시킬 것이라며 설득에 나섰다. IPA는 주민 설명회와 현장견학 등을 연 뒤, 올해 말 공모를 거쳐 내년에 민간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김신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