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세종行 ‘후폭풍’… 과천 민·관·정 ‘先대책’ 촉구

정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구 미래부)를 세종시로 이전한다고 발표하자 과천지역 정치인과 시민단체가 과천시 지원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30일 과천시에 따르면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난 22일 세종시 호수공원에서 열린 행복도시 착공 1주년ㆍ세종시 출범 5주년 기념식에서 행정자치부와 과기정통부를 차질없이 세종시로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세종시 청사 사무실이 부족해 민간 사무실을 임대키로 하고 현재 사무실 계약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계용 과천시장은 “지난 2013년 7만 과천 시민의 투쟁으로 과기정통부를 과천 청사로 유치했는데 4년 만에 세종시로 이전하는 과천시민을 우롱하는 처사”라며 “우리나라 4차산업을 선도할 과천지식정보타운을 성공적으로 개발하려면 과기정통부가 과천 청사에 존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신 시장은 “정부정책상 과기정통부가 불가피하게 세종시로 이전할 경우 과천시 지원대책이 우선돼야 한다” 며 “과천지식정보타운과 연계해 청사 앞 유휴지 첨단 IT 단지로 개발해야 하고, 과천시 추진하고 있는 과천복합관광단지 건립사업이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가 협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유한국당 문봉선 시의원도 “과천시는 정부부처 세종시 이전으로 행정도시 정체성 상실과 지역경제 붕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면서 “과천시 지원대책이 선행되지 않으면 7만 과천 시민은

 

기정통부 이전을 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과천청사 이전 반대운동을 펼쳐왔던 시민단체인 과천회도 과천시 지원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김성훈 과천회 회장은 “과천시는 지난 2012년 과천청사 이전 반대운동 당시 정부는 청사 유휴지 개발 등 과천시 지원대책을 약속하고도 현재까지 이행하지 않고 있다”며 “정부는 과기정통부를 세종시로 이전하는 대신 과천시가 자족 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개발제한구역 해제와 청사 유휴지 개발, 재정 지원 등 과천시 지원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이어 “만약 정부가 지난 2012년처럼 아무런 대책 없이 과기정통부를 세종시로 이전하면 7만 과천 시민은 대정부 투쟁을 벌여 나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신창현 국회의원(과천ㆍ의왕)은 “과기정통부가 세종시로 이전하느냐, 과천 청사에 존치하느냐가 문제가 아니라 과천시 미래 발전을 위해 현 과천청사부지와 청사 유휴지 부지를 어떤 방식으로 개발하느냐가 중요하다”면서 “과천청사 개발을 위해 지난해부터 기재부와 행정안전부 등 관련 부처 장관들과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 의원은 이어 “현재 정부 과천청사에 대기업 본사와 4차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IT 기업 유치 등을 계획하고 있다. 특히 과기정통부 이전에 따른 과천시 지원대책의 하나로 청사 유휴지 개발 등을 정부 측과 협의하고 있다”고 덧붙었다.

 

과천=김형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