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무직노조, 시교육청서 ‘투쟁결의대회’
수년째 개인 책상·컴퓨터조차 없어 학생 책상·PC ‘전전’… 외부인 취급
저임금에 최악의 근무여건 ‘악순환’ 시교육청 ‘예산타령’… 끝내 거리로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인천지부는 9일 인천시교육청 앞에서 특수교육실무원 등 50여명이 모인 가운데 ‘전국특수분과 공동행동의 날 특수교육실무원 투쟁결의대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교육공무직 노조에 따르면 국·공립, 사립 유·초·중고교 및 특수학교에는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의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와 학교 비정규직인 특수교육실무원이 근무하고 있다. 이중 특수교육실무원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등교지원과 이동지원, 급식, 수업지원, 대소변지원 등부터 수학여행, 현장학습 지원과 같은 외부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특수교육실무원은 수년째 개인 책상과 컴퓨터도 없이 학생의 책상과 컴퓨터를 사용하는 등 외부자 취급을 받고 있다. 특히 특수교육실무원은 상해와 근골격계 질환, 디스크 질환 등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정규직이라는 이유로 저임금과 차별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교육공무직 노조는 올해 4월부터 시교육청과의 직종교섭을 통해 특수교육지원수당 5만원 지급과 근골격계 질환 및 근무실태 표본조사 실시, 개인책상 및 PC지급 등을 요구했다. 하지만 시교육청이 예산문제를 들며 이 같은 요구를 거부하고 있다는 게 교육공무직 노조의 설명이다.
교육공무직 노조는 “시교육청은 총파업과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간절한 외침에도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화 가이드라인 발표 이후에도 추가로 나온 입장이 아직 존재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