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발언 자제 신중 대응
여름휴가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일(현지시각) 뉴저지 주 트럼프 내셔널 골프클럽에서 기자들에게 “김정은은 정상을 넘어 매우 위협적”이라면서 “북한이 더는 미국을 위협하지 않는 게 최선일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세계가 일찍이 보지 못한 화염과 분노(fire and fury), 솔직히 말하자면 힘과 마주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군사 경고’는 북한이 미 본토 타격이 가능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탑재할 수 있는 소형핵탄두 개발에 성공했다는 워싱턴포스트(WP) 보도를 접한 뒤다.
이에 북한은 9일 탄도미사일 운영부대인 전략군의 대변인 성명을 통해 “중장거리전략탄도로켓 화성-12형으로 괌도 주변에 대한 포위사격을 단행하기 위한 작전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며 “이 괌도 포위사격방안은 충분히 검토 작성돼 곧 최고사령부에 보고하게 되며 우리 공화국 핵 무력의 총사령관이신 김정은 동지께서 결단을 내리시면 임의의 시각에 동시다발적으로, 연발적으로 실행될 것”이라고 맞불을 놨다.
북한 인민군 총참모부도 이날 별도의 대변인 성명을 내고 “미국이 새롭게 고안해내고 감행하려는 ‘예방전쟁’에는 미국 본토를 포함한 적들의 모든 아성을 송두리째 없애버리는 전면전쟁으로 대응하게 될 것”이라고 위협했다.
이처럼 북한과 미국 간 위협전이 격화하면서 한반도의 긴장감이 고조되자,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도 분주한 모습이다.
청와대는 현재 상황이 엄중한 만큼 발언을 자제하는 등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북한의 잇따른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 도발과 관련한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한반도에서 전쟁 불가와 한미 간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한 북한 핵 문제의 평화적·외교적 방식 해결, 북한의 핵·미사일 관련 대화와 남북관계 개선·인도적 차원 대화를 분리하는 투트랙론 등을 강조했던 만큼 이런 기조 하에서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미국이 북핵 문제에 급격하게 강경한 기류로 선회하면서 북한 핵·미사일 문제를 제외하고 남북관계와 인도적 지원에 ‘운전대’를 잡겠다는 우리 정부의 입지가 더욱 협소해 질 수 있다는 점이다.
‘대북대화 투트랙론’은 우리 정부가 북핵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할, 한반도를 둘러싼 미·중·일·러의 4강국과 북한의 합의를 이끌어낼 힘이 없다는 현실적 인식이 반영된 것이지만, 북핵 문제를 둘러싼 북미 간 갈등이 커질 경우 이와 별도로 인도적 차원의 대화를 주도할 여지도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