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한 수의계약’ 추가 확인… 연구용역 ‘판도라 상자’ 열리나

道 산하 공공기관 ‘연구용역 커넥션’ 빙산의 일각?
경기복지재단 T社와 수의계약… 책임연구원, 경영평가위원 출신 김씨
보조연구원은 경영평가 담당업체 A社 직원… 제3의 회사 등장 주목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들이 경영평가에 참여했던 연구원과 관계있는 컨설팅회사에 수의계약으로 연구용역을 주고 있어 경기도가 진상조사에 착수(본보 8월10일자 2면)한 가운데 경기복지재단의 ‘수상한 수의계약’이 추가로 확인됐다.

 

올해 초 T사가 수행한 이 연구용역의 책임연구원은 지난 3년간 경영평가 평가위원 및 실무지원단 등으로 활동한 김 모씨이며 보조연구원은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 경영평가 담당 업체인 A사의 정규직원으로 확인돼 T사와 A사의 관계가 주목되고 있다.

 

특히 지난 2년간 공공기관 경영평가 위원으로 활동했던 김 모씨는 당초 올해 역시 평가위원에 포함됐었지만 도 산하 공공기관에서 연구용역을 수행하고 있어 평가위원에서 배제, 실무지원단에 배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김 모씨가 현재 연구하고 있다고 확인된 컨설팅회사는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T사와 H사가 아닌 제3의 회사인 것으로 알려져 경기도의 진상조사가 더욱 광범위하게 진행될 전망이다.

 

10일 경기복지재단에 따르면 재단은 지난 1월 가평군에 위치한 T사와 950만 원 규모의 수의계약을 체결하고 ‘경기복지재단 근무성적평정제도 개선 컨설팅’을 의뢰했다.

 

T사는 지난 3년간 경기도 공공기관 경영평가 총괄 간사를 담당했던 심 모씨와 평가위원 및 실무지원단으로 활동했던 김 모씨가 근무했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회사다. 이번 용역까지 더하면 지난해와 올해에만 경기복지재단 및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등으로부터 총 4건의 연구용역을 수의계약(5천90만 원)했다.

 

이번 연구용역을 살펴보면 김 모씨는 책임연구원으로 명시돼 있으며 보조연구원으로는 K양이 참여하고 있는데, K양은 지난 3년간 경기도 공공기관 경영평가를 담당했던 A사의 정규직원이다.

 

K양은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과 T사가 지난 3월 수의계약(1천200만 원)을 통해 진행한 ‘개인성과관리 및 근무성적평정제도 개선 컨설팅’ 연구용역 과정에서 ‘계약 및 서류제출 관련 업무 제반사항 위임자’로 지목된 바 있다. 이에 대해 K양은 지인의 부탁으로 서류를 전달했을 뿐 T사를 전혀 알지 못하고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는데, 지난 1월 T사가 실시한 연구용역에 보조연구원으로 이름을 올리고 있는 것이다.

 

지난 3년간 경영평가를 실시한 A사의 정규직원이 T사가 실시한 2건의 연구용역에 관련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A사와 T사의 관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지난 2015년과 2016년 경영평가 평가위원으로 활동했던 김 모씨는 올해 역시 경영평가 평가위원으로 포함됐었지만 A사가 자체적으로 실시한 ‘평가적절성검증’에서 도내 산하기관으로부터 연구용역을 의뢰받아 수행하고 있는 것이 확인돼 배제, 실무지원단으로만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씨에게 연구용역을 의뢰한 기관은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경기복지재단,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경기도문화의전당이 아닌 타 기관이며, 김 씨가 소속된 컨설팅회사 역시 현재까지 알려진 T사와 H사가 아닌 제3의 회사인 것으로 알려져 이번 사태에 대한 진상조사를 진행 중인 경기도의 조사범위가 더욱 광범위해 질 전망이다.

 

이에 대해 A사 관계자는 “현재 언론 보도와 관련해 내부적으로 조사 및 점검이 전체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답변하기가 어렵다”고 밝혀왔다.

이호준ㆍ허정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