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쓰는 물건인고?”…시민들로부터 외면받는 ‘안전부스’

▲ 31일 수원시 영통구에 설치된 안전부스의 시스템이 작동이 안돼 위급상황시 무용지물로 전락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전형민기자
▲ 31일 수원시 영통구에 설치된 안전부스의 시스템이 작동이 안돼 위급상황시 무용지물로 전락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전형민기자

경기도내 일선 지자체들이 심야시간대 시민 안전을 보장하고자 도입한 ‘안전부스’들이 시민들로부터 철저히 외면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범지대가 아닌 번화가 주변에 설치된 데다 홍보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존재 여부조차 모르는 시민들이 많고 각종 오류까지 발생하고 있어서다.

 

13일 수원시를 비롯한 도내 일선 지자체 등에 따르면 각 지자체들은 지난해 12월부터 지역 곳곳에 안전부스를 설치해 오고 있다. 안전부스란 보행자가 위험요소를 만났을 경우 부스 내부로 들어가 비상벨을 누르면 센서가 작동해 문이 닫히고, 경찰관과 실시간으로 통화가 가능한 시스템을 갖춘 시설이다. 현재 수원에는 영통구 영통동에 2개, 매탄동, 팔달구 매교동, 권선구 세류동에 각각 1개씩 모두 5개의 안전부스가 설치돼 있다. 광주시(3개)와 안산시, 과천시(이상 1개)도 안전부스를 설치ㆍ운영하고 있다. 안전부스 1개당 1천500만~2천만 원가량의 예산이 투입됐다.

▲ 31일 수원시 영통구에 설치된 안전부스의 시스템이 작동이 안돼 위급상황시 무용지물로 전락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전형민기자
▲ 31일 수원시 영통구에 설치된 안전부스의 시스템이 작동이 안돼 위급상황시 무용지물로 전락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전형민기자

하지만 대부분 안전부스 이용률이 현저하게 낮아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수원시의 경우 영통에 설치된 2개 안전부스와 매탄동에서 신고가 접수된 건수는 8개월 동안 각각 2건에 그쳤고, 매탄동과 세류동은 0건이었다. 광주시와 안산시 또한 신고 접수 건수는 수개월 동안 각각 3건과 1건에 불과했다.

 

안전부스 이용률이 이처럼 바닥을 치는 것은 우범지대와는 동떨어진 엉뚱한 곳에 설치된 데다가 지자체 차원의 홍보가 부족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수원의 경우 안전부스들은 주민들의 출입이 빈번한 대단지 아파트 산책로에 있거나 상가 밀집 지역 100m 이내에 설치돼 있다. 광주와 안산도 학생들이 자주 이용하고 차량 통행도 잦은 곳에 안전부스를 설치했다.

 

더욱이 일부 안전부스는 안전부스를 조작해야 할 화면이 꺼져 있거나 애초부터 출입문이 닫혀 있는 등 시민들이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인데도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고 있다. 영통동 견우광장에 설치된 안전부스는 심야시간대 출입문이 닫혀 있어 수동으로 문을 열고 들어가 조작해야 하며, 영덕고 인근 안전부스는 인터페이스 오류로 작동이 불가능했다.

 

이 때문에 대부분 시민들은 안전부스의 존재를 모르거나 설치 목적을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시민 S씨(43ㆍ여)는 “안전부스라는 것이 있는 줄도 몰랐다”면서 “시민안전을 위해 설치했다면서 별도 홍보나 안내가 전혀 없었던 것 같다”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한 지자체 관계자는 “시민들을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한 만큼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펼치겠다”며 “인터페이스 등 작동 오류 관련 사항도 개선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수습 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