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가계대출이 최근 3년 사이 50조 원가량 증가한 225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가계부채, 문제의 핵심과 해결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전국의 가계부채는 1천359조 원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경기지역 가계대출 규모는 225조6천억 원이며 전국 가계대출액의 2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14년 6월 178조4천억 원보다 47조 원이 늘어난 수치다.
이런 가운데 경기연이 경기도 가계부채 특징을 분석한 결과 은행보다 신용도가 낮은 비은행에서의 대출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경우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항목에서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비중이 지난 2011년 4분기 32%에서 올해 1분기 36%로 증가했다.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부동산 담보대출도 지난 2015년 6월부터 전국 평균을 넘었고 올해 1분기 증가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3% 높아졌다.
또 도는 타 지자체에 비해 자영업자들의 여건이 좋지 않아 향후 금리 인상 시기에 취약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도내 자영업자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113만8천 명이며, 이들의 소득 대비 부채 비중과 소득대비 상환액은 모두 상용직 근로자에 비해 높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유영성 경기연 연구위원은 ▲정부의 정책 서민대출에서 제외된 경기도민을 위한 마이크로 크레딧 사업 ▲저소득층과 노인을 위한 경기도와 보험회사의 의료 보험금 일부 부담 ▲공공근로와 워크아웃 제도 결합 등을 제안했다.
유 연구위원은 “가계부채의 총량을 줄여나가는 일은 경제성장이나 가계소득의 대폭 증대가 없는 한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악화됐다”면서 “최저소득보장, 장발장은행, 주빌리은행 등 저소득층을 위한 사회안전장치 마련하는 한편 경기도형 가계부채관련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진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