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평화는 무력으로 오지않아…북핵 반드시 평화적 해결"

북한과 미국의 ‘강대강’ 대치 국면으로 한반도 8월 위기설이 고조된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어떤 우여곡절을 겪더라도 북핵 문제는 반드시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면서 “이 점에서 우리와 미국의 입장이 다르지 않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최근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로 인해 한반도와 주변 안보 상황이 매우 엄중해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북·미 갈등이 격화한 이후 문 대통령이 이와 관련한 메시지를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문 대통령은 북한의 ‘괌 포위사격’ 예고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화염과 분노’로 한반도 긴장이 이어지는 와중에도 직접적인 메시지를 최대한 자제해 왔다.

 

북미 간 감정싸움에 개입해 상황을 복잡하게 만들 필요가 없다는 판단 아래 메시지를 극대화할 ‘타이밍’을 기다려온 것으로 보이지만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한반도 문제에 대한 주도적인 입장을 강조한 만큼 신속하게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문 대통령의 메시지는 한반도 8월 위기설을 키우고 있는 북·미에 자제를 촉구하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최근 미·중 정상 간 전화통화를 계기로 국면전환 기류가 조성되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정부의 원칙은 확고하다. 대한민국의 국익이 최우선이며 대한민국의 국익은 평화”라며 “한반도에서 두 번 다시 전쟁은 안 된다. 정부는 미국 등 주요국들과 협력해 이 같은 상황이 심각한 위기로 발전하지 않도록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며 한반도에서의 평화와 안정을 반드시 지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한미동맹은 평화를 지키기 위한 동맹으로 미국 역시 현재의 사태에 대해 우리와 같은 기조로 냉정하고 책임 있게 대응할 것이라 확신한다”면서 “한반도의 평화는 무력으로 오지 않는다. 평화와 협상이 고통스럽고 더디더라도 반드시 그렇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국민 여러분께 분명히 약속드린다”며 “위기는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고 유사시 대비도 철저히 하고 있다. 국민과 함께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를 반드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에 대해서도 “북한은 더는 상황을 악화시키지 말고 도발과 위협적인 언행을 즉시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북한이 올바른 선택을 할 경우 남북 간 교류협력을 획기적으로 발전시켜 우리 민족의 밝은 미래를 함께 개척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맞물려 문 대통령이 8·15 경축식 경축사에서 내놓을 대북메시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광복절 메시지가 엄중함을 지니는 만큼 문 대통령의 대북메시지는 향후 정부의 대북 정책의 풍향계가 될 전망이다.

 

특히 문 대통령이 이날 회의에서 ‘평화적 해결’을 거론했다는 점에서 8·15 경축사 전체 기조가 ‘동북아 안정과 번영’으로 수렴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따라 북·미 양측에 자제를 요구하면서도 북한의 잇따른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고강도 도발에 대해서는 단호한 태도를 거듭 천명할 것으로 분석된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