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크루즈 관광객 31만명, 전년比 56.9% 감소
중국 의존도 91%… 대만 등 시장 다변화 늦어
정부가 ‘외국인 크루즈 관광객 200만명 시대’를 공언하며, 해양산업의 블루오션으로 주목받던 크루즈(유람선) 산업이 애물단지로 전락했다.1월 중순부터 강화된 중국 사드보복의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인천에서도 남항 크루즈부두(아암물류2단지 골든하버)에서 지난 2월 7일 출항하기로 한 코스타 세레나호는 취소됐다. 중국측 모객에 실패하면서, 인천항을 모항으로 시도된 첫 크루즈가 뜨지 못했다.
14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해 올해 초 업무계획에서 밝힌 크루즈 관광객 유치 목표는 200만명 규모다.
1월 국내 크루즈 관광객은 10만4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6만명보다 74% 증가했다. 2월도 10만1천명으로 71% 늘었다.
하지만 지난 1월 중순부터 중국의 사드 보복이 서서히 강화되면서 사정은 180도 달라졌다.
올 상반기까지 우리나라 항구에 들른 크루즈 관광객은 181항차에 총 31만7천110명이다. 이는 올해 목표치의 15.9%에 불과하다.
지난해 같은 기간 315항차 73만5천751명보다 134항차 41만8천641명이 적다. 56.9% 감소했다. 2015년과 비교해도 17항차 6만8천738명이 줄었다.
제주항의 피해가 가장 컸다. 지난해 207항차에 걸쳐 50만1천595명의 크루즈 관광객이 들렀던 제주는 지난 6월까지 90항차 동안 18만3천79명이 찾는 게 그쳤다. 지난해의 36.5% 수준이다.
사드 보복에 국내 크루즈 산업이 흔들린 것은 중국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서다. 지난해 크루즈 관광객 총 195만명 중 유커(중국인 관광객)는 91%를 차지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중국의 크루즈 관광 수요가 늘어날 기미가 안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정기 유람선이 국내에 처음 기항한 2005년 3만명이던 관광객은 2010년 17만명, 2013년 80만명, 2014년 106만명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해수부는 부족하지만, 시장 다변화를 위해 대만 등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대만 크루즈 관광객 5천여명은 지난달 8일과 13일 일본 나가사키를 거쳐 한국을 찾았다.다음달에도 대만 관광객 5천여명이 방문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해수부는 오는 24∼27일 제주에서 열리는 제5회 국제크루즈포럼에서 홍보를 강화할 예정이다.
김신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