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광복 72주년을 하루 앞둔 14일 “독립 유공자 3대까지 합당한 예우를 받도록 하겠다”며 제대로 된 ‘보훈정책’을 시행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생활이 어려운 독립 유공자의 자녀·손자녀를 지원하기 위해 500여억 원을 투입하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문 대통령은 이날 독립 유공자·유족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하는 자리에서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하고 친일하면 3대가 흥한다는 말이 사라지게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어떤 말로도 충분한 위로와 보답이 되지 못하겠지만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여러분의 희생과 헌신을 기억하고 있다. 국민을 대표해 감사와 존경의 인사를 드린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새 정부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일 중 하나가 보훈정책을 제대로 하는 것”이라며 “국가보훈처를 장관급으로 격상했고 ‘당신의 헌신을 잊지 않고 보답하는 나라’를 100대 국정과제로 선정해 힘을 쏟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독립유공자 1만 5천여 분 중에 생존해 계신 분이 쉰여덟 분밖에 되지 않는다. 한 분이라도 더 살아계실 때 제대로 보답해야 한다”면서, 보훈처와 관련 정부 부처가 ‘보훈 보상체계 개선방안’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특히 문 대통령은 “지금까지는 자녀·손자녀 보상금이 선순위자 1인에게만 지급돼 다른 자녀, 손자녀에게 도움을 주지 못했는데 앞으로 보상금은 현재대로 지급하면서 생활이 어려운 모든 자녀, 손자녀를 위해 생활지원금 사업을 새로 시작하고 500여억 원을 투입하겠다”고 강조했다.
독립 유공자 안장식이 국가의 예우 속에 품격있게 진행되도록 장례와 해외 독립 유공자 유해봉송 의전을 격상하고 지원도 확대된다.
문 대통령은 “지금까지 영구용 태극기를 택배로 보내줬다는 얘기를 들었다. 연평해전 때 중상을 입은 문병옥 일병 아버님으로부터도 전역증이 등기우편으로 와서 설움이 북받쳤다는 말씀을 들었다”며 “정말 면목없고 부끄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는 인편으로 직접 태극기를 전하고 대통령 명의의 근조기와 조화 지원 대상도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2년 뒤 2019년은 대한민국 건국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라며 “임시정부 기념관을 건립해 후손들이 독립운동 정신을 기억하게 하고 보훈 문화가 확산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