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공항公 정규직 전환, 왜 잡음이 많은가

인천공항공사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사업이 진통을 겪고 있다. 공항공사는 문재인 대통령이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시대를 천명한 곳이다. 공항공사는 협력업체 직원 전원의 정규직 전환을 위해 지난 5월 중순 내부 전담부서인 ‘좋은 일자리 창출 TF팀’을 출범시켰고, 5월30일엔 외부 전문가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기 위한 ‘인천공항 좋은 일자리 자문단’을 발족했다. 자문단 위원으로는 학계 노동계 시민단체 등 각계 전문가 15명을 위촉했다.

특히 당사자인 협력사 직원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민노총 공공운수노조 정책기획실장과 한노총 전국 공공사업 노조연맹 수석부위원장 등 양대 노총 대표를 각각 선임했다. 항공공사 측은 노동자 공동대표단의 위임을 받아 노동계 자문단 비율을 민노총 5: 한노총 3: 무상급 노조 2:의 구성안을 마련했다. 이는 공항공사 협력사 직원 중 노조별 소속 직원 수 비율에 따른 거다. 현재 공항공사 협력업체 직원 중 민노총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 소속이 약 3천200명, 한국노총 연합노련 소속이 350명, 나머지 300여명은 상급단체가 없는 개별노조 소속이다. 하지만 일부 노조가 이 안을 거부, 자문단 구성에 차질을 빚고 있다.

지난 6월 초엔 공항공사 측이 제2여객터미널 개장 일정 미확정과 상업시설 유찰을 사유로 협력업체에 신규 채용 중지 통보를 해 한때 혼란을 빚기도 했다. 항공공사는 또 지난 7월 ‘좋은 일자리 창출 전략 및 실행방안 수립 용역’ 업체로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을 선정, 용역(용역기간 6개월)에 착수 했다. 그러나 공항공사 비정규직노조는 공항공사가 강조해온 ‘노사공동연구’를 함께 하겠다는 협력 약속을 저버린 일방적 행보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용역 과제는 정규직 전환 방안, 분야별 직급·임금 수준, 기능·직무별 인력운영 방안 등 크게 4개 항목이다. 특히 연구 용역 과제엔 노동계에서 우려했던 자회사 설립을 통한 정규직 전환 방안도 포함된 걸로 확인돼 노조의 반발이 거세다. 근로자들은 그동안 외주용역의 비리 등 문제점이 반복돼서는 안 된다며 모기업의 직접고용을 요구해왔다.

그런데 괴이한 건 용역 결과가 나오지도 않았는데도 일부 언론에서 항공공사가 임시법인 성격의 ‘인천공항운영관리(주)’를 설립, 정규직 1천800명을 채용하고, 곧 개장할 제2여객터미널에서 근무할 1천600명도 고용 승계한다는 내용이 보도돼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항공공사 측은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해명을 해야 한다. 연구 용역 결과는 오는 9월 말께 나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공항공사 측은 정규직 전환에 따른 그동안의 잡음을 해소하고, 용역 결과에 따라 정규직 전환 작업을 투명하게 추진, 모범을 보여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