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공공청사 복합개발 사업 선도지역·유형별 모델 9월 공개
국토부, 청년층·신혼부부에 새로운 방식 ‘공공임대주택’ 공급
낡은 공공청사 재건축 시 젊은 층을 위한 임대주택인 행복주택을 함께 짓는 ‘노후청사 복합개발’ 사업이 내달 윤곽을 드러낼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15일 다음 달 노후청사 복합개발 사업 선도 사업지를 선정하고 유형별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국토부는 30년 이상 된 노후 공공건축물을 리모델링할 때 공공주택을 함께 짓는 복합개발을 통해 올해 말까지 1만 가구, 2022년까지 총 2만 가구의 행복주택을 공급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부족한 어린이집 확충을 위해 복합개발에서 국공립어린이집을 짓는 방안도 함께 추진키로 했으며 비용은 주택도시기금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자금을 투자하는 방식이다.
‘노후청사 복합개발’ 사업 도심지역 거주를 희망하는 청년층과 신혼부부에게 새로운 방식으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공공건축물을 개발하는 것이어서 비용 부담 역시 적어 정부의 신속한 추진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이에 국토부는 노후 공공건축물에 대한 전수조사에 착수하며 사업 진행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토부는 다음달 지자체 공모를 통해 경찰서와 우체국, 주민센터, 구청, 보건소 등 유형별 공공건축물 복합개발 선도 사업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선도 사업지의 경우 입지가 좋고 유명한 공공건물 위주로 선정하는 등 ‘시범 사업’ 성격 형식으로 진행, 해당 사업을 지방자치단체 등에 홍보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30년 이상 된 노후 공공건물은 4만 8천 동으로 집계되고 있다.
국토부는 일차적으로 인구 10만 명 이상으로 인구 규모가 뒷받침되고 입지와 여건이 충족되는 후보 건물을 전체 건물의 1/10수준인 480동가량으로 범위를 좁혀 놨다.
이에 따라 오는 연말까지 1차 사업지를 선정하고 2~3년 내 건물을 완공한다는 것이 국토부의 계획이다. 이후 1차 사업지의 성과 지역을 중심으로 1만 호의 행복주택을 추가로 공급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의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지자체들도 지역 내 노후 공공청사 재건축과 행복주택을 접목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구윤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