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남양주와 광주의 산란계 농가의 살충제 달걀과 관련한 도내 전수조사를 17일까지 완료할 예정인 가운데 추가적인 검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우려를 낳고 있다.
16일 도에 따르면 두 농가에서 살충제 피프로닐과 비펜트린 성분이 검출됨에 따라 현재 동물위생시험소 직원 등 45명의 인력을 투입해 31개 시ㆍ군 산란계 농가 256곳(1천450만 마리 사육)에서 생산된 달걀을 대상으로 위생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위생검사는 농장마다 달걀 100개씩을 무작위 추출해 동물위생시험소에서 살충제 성분 유무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17일 오전까지 전수조사를 마칠 계획이다.
도는 최초 농약 성분이 검출된 남양주ㆍ광주 농가에서 출하한 달걀의 유통경로도 추적 중이다.
두 농가에서는 13만 7천 개(남양주 5만 6천 개, 광주 8만 1천 개)의 달걀을 6곳의 중간도매상에게 출하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가운데 도는 대부분 농가가 닭에 기생하는 진드기를 제거하고자 약품을 쓰고 있어 사용이 금지되거나 제한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되는 산란계 농가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도 관계자는 “소규모 농장은 위생이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현재까지는 남양주ㆍ광주ㆍ양주 농가밖에 없지만) 조사가 진행되면 살충제 성분이 추가로 검출되는 농가가 더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일형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