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 공약 ‘구멍’… 문 대통령 취임 100일 ‘찬물’
엉성한 ‘먹거리 정책’… 무엇 하나 안심하고 먹을게 없다
‘위협받는 음식’ 시민 불만 증폭… 농장→식탁 안전 空約
문재인 대통령은 16일 ‘살충제 계란’ 사태와 관련, 이낙연 국무총리에게 범정부적으로 상황을 종합관리하고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을 지시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이 이번 사태와 관련, 주무부처가 농림부와 식약처로 이원화돼 중복발표가 되고 있는 상황이니 국무총리가 범정부적으로 종합관리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수조사 결과를 국민에게 소상히 알리라고 지시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농약이 든 계란이 시중에 유통될 때까지 정부에선 뭘 했는지 따져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더욱이 취임한지 100일밖에 안 된 시점에서 과거 문 대통령이 내걸었던 먹거리 공약(公約)이 공약(空約)으로 끝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17일은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한 지 100일째 되는 날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 “안전한 먹거리를 국가가 책임지겠습니다”라며 먹거리 안전 3가지 약속을 대선공약으로 내걸었다.
이들 공약 중 하나는 농장에서 식탁까지 건강한 먹거리를 보장하겠다는 내용이다.
특히, 먹거리 안전을 빈 틈 없이 챙기겠다며 생산단계에서 농약이나 항생제, 중금속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안전한 농축수산물 생산을 위해 축산농가의 시설개선을 지원하겠다고 공약했다.
이번 살충제 계란파동으로 대통령의 정책공약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16일 대통령 지시 직후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청와대는 당ㆍ정ㆍ청회의를 열고 살충제 계란에 대해 사흘 내로 전수조사를 끝내고 기준치를 넘지 않아도 회수해 폐기처분하기로 했다.
하지만 불안한 국민여론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정부의 엉성한 ‘먹거리 정책’으로 불안해서 음식 하나 제대로 먹을 수 없다는 게 대다수 의견이다.
인천남구에 사는 가정주부 A씨(38)는 “계란이 안전한 영양식품이라고 알려져 아이들에게 많이 먹였는데, 국민의 ‘먹거리 정책’이 이렇게 불안해서 어느 누가 정부를 믿고 음식을 먹겠느냐”고 토로했다.
소비자와 식당 업주들은 이미 사다 놓은 계란을 어떻게 처분해야 할지를 놓고 혼란을 겪고 있다.
남동구 구월동에서 콩나물국밥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B씨(55)는 “계란 수 십 판을 미리 사다 놓았는데, 어떻게 처리해야 할 지 답답할 뿐”이라고 하소연했다.
대통령 공약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단 지적에 대해 청와대 대변인실과 대선 후보시절 선거캠프 공보를 책임졌던 청와대 관계자들은 “그 부분은 내가 답변할 사안이 아니다”며 모두 즉답을 회피했다.
김준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