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파문] “AI 겨우 정상화됐는데…” 유통업체·제빵업계 폐업 위기 내몰려

무료 급식소도 대체식품 마련 골머리

▲ ‘살충제 계란’ 파동으로 애꿎은 영세업자들이 피해를 보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6일 수원의 한 계란 유통업체에서 관계자들이 마트 등 시중에 유통했다가 반품된 계란을 창고로 옮기고 있다. 이 업체 관계자는 “살충제가 검출되지 않은 계란까지 살충제 계란으로 규정해 다 반품처리 시켰다”며 “정부의 확실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목소리 높였다. 오승현기자
▲ ‘살충제 계란’ 파동으로 애꿎은 영세업자들이 피해를 보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6일 수원의 한 계란 유통업체에서 관계자들이 마트 등 시중에 유통했다가 반품된 계란을 창고로 옮기고 있다. 이 업체 관계자는 “살충제가 검출되지 않은 계란까지 살충제 계란으로 규정해 다 반품처리 시켰다”며 “정부의 확실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목소리 높였다. 오승현기자
“안일하게 사과만 해놓고 뒷수습을 못 하고 있잖아요. 정부 대책이 아직도 뭔지 모르겠어요”

 

16일 정오께 수원 장안구 H 유통업체. 수북이 쌓여 있던 계란들이 3.5t짜리 트럭에 옮겨 담아지고 있었다. 전날 불거진 ‘살충제 계란’ 파동에 따른 시중 계란들에 대한 폐기 작업의 일환이다.

 

하루 7천~8천 판(1판당 30개) 분량의 계란이 거래될 정도로 활발했던 곳이지만, 이날은 적막감만 맴돌았다. 업체 대표 J씨(47)는 “AI 때문에 그렇게 애를 먹다가 이제야 조금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었는데 하늘도 무심하다”면서 “중간에 낀 우리 같은 유통업체들은 아무것도 할 수 있는 것이 없어 날벼락 맞은 기분”이라고 토로했다.

 

조류인플루엔자(AI)로 홍역을 치렀던 계란 유통업체와 토스트 가게 등 관련 업계들이 ‘살충제 계란’ 파문으로 또다시 직격탄을 맞고 있다. 여파가 확산되면서 계란 유통이 전면적으로 금지될 가능성도 제기돼 일부 업체들은 도산 위기에까지 내몰리고 있다.

 

이날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시중에 유통 중인 계란 제품 ‘신선 대 홈플러스’(11시온), ‘부자특란’(13정화) 등 2개에서 비펜트린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 정부는 해당 계란에 대해 전량 회수·폐기 조치할 방침이다.

 

이처럼 문제가 확산되자 대부분 반죽에 계란을 사용해야 하는 제빵업계가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 안산 상록구 C 베이커리와 성남 B 제빵소의 경우 정부의 회수 조치 등으로 계란 물량이 줄면서 재료값이 상승, 빵 가격도 올려야 하는 상황이다. 성남 분당구 야탑역 인근에서 토스트가게를 운영하는 P씨(46)도 “모든 메뉴에 계란이 들어가는데 이런 일이 벌어져 막막하다”며 “보관 중인 계란만 수십 판인데 이마저도 사용 못 하게 되면 문을 닫아야 할 판”이라고 울먹였다.

무료급식소를 운영하는 단체들도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안산행복나눔무료급식소와 굿워커스 등 지역 곳곳에서 무료 급식을 운영 중인 단체들은 계란후라이ㆍ고명 대신 생선과 두부 등의 대체식품을 마련하는 데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전문가들은 정부가 계란 유통 정상화에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진만 건국대 식품위생학과 교수는 “정부가 내일까지 산란계 농가 전수조사를 끝낼 예정인데 검사 결과를 조금 기다릴 필요가 있다”면서도 “당장 내일이라도 검출이 안 된 계란들은 바로 유통시켜 영세업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습 조수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