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4년 4월16일 세월호 참사 이후 대통령이 공식 사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만큼 향후 진상 규명 등 후속 조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세월호 참사 유족과 생존자 가족 등을 만난 자리에서 “세월호를 늘 기억하고 있었고 선체 수색이 많이 진행됐는데도 아직 다섯 분의 소식이 없어 정부도 애가 탄다”면서 “정부를 대표해 머리 숙여 위로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또 “정부는 국회와 함께 세월호 참사의 진실규명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가족의 여한이 없도록 마지막 한 분을 찾아낼 때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참사 초기부터 지금까지 아픔을 함께 해왔고 앞으로도 함께 하겠다”며 “미수습자 수습이 끝나면 세월호 가족을 청와대로 모시려 했는데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려서 수색작업 중에 모시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 원인이 무엇이든 정부는 참사를 막아내지 못했다”며 “선체 침몰을 눈앞에서 뻔히 지켜보면서도 선체 안 승객을 단 한 명도 구조하지 못했을 정도로 대응에서도 무능하고 무책임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유가족을 따뜻하게 보듬어주지도 못했고 오히려 국민 편 가르기를 하면서 유가족에게 더 큰 상처를 안겼다”며 “정부는 당연한 책무인 진실규명마저 가로막고 회피하는 비정한 모습을 보였다”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강력한 법적 권한을 갖는 2기 특조위가 정부보다 더 효율적일 것이고 1기 특조위를 이어가는 의미도 있다”며 “특별법의 국회 통과가 잘 될 것으로 믿고 또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선체 보전 문제와 관련, 문 대통령은 “선체조사위가 보전과 활용계획을 세우게 돼 있고 이에 따라 조사위가 국민 여론과 가족 의견을 수렴해 해줄 것으로 믿지만 정부도 세월호가 안전체험과 교육의 장이 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