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인천항 갑문에 4차 산업기술을 도입·융합한 체질개선이 추진된다.
인천항만공사(IPA)는 인천항 갑문을 ’스마트 갑문’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갑문 시설에 4차 산업기술인 사물인터넷(IoT)과 정보통신기술(ICT) 활용을 추진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IPA에 따르면 인천항 갑문은 최대 10m에 달하는 조수간만의 차를 극복하고 인천항 내항에 접안하는 선박에게 안정적인 통항 및 접안·하역을 지원하기 위해 1974년 준공됐다.
그러나 갑문 노후화로 인해 운영 효율이 저하되고 유지보수의 난이도가 높아지게 됐다.
IPA는 갑문 시설을 개선하고 동시에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자 지난 6월 갑문정비팀 내 ’설비혁신파트’를 신설하고 ’스마트갑문’으로 본격적인 변신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 달 IPA는 갑문 시설 중 침수·범람 취약 설비에 대해 침수 예방설비를 현대화하고, 4차 산업기술을 적용한 장애경보 시스템을 구축했다.
또 자연재해를 사전에 대비하고 침수 상태와 침수 예방 설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현장 관리자의 대응 능력과 함께 설비 관리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였다.
이 밖에도 IPA는 갑문 설비 통합 감시 소프트웨어를 자체 개발해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하고, 자체 기술력을 확보함으로써 시스템 안정화를 실현했다. 연말까지는 IoT 기술을 융합한 수위관측 시스템도 완성할 예정이다.
IPA는 오는 2020년까지 IoT 기반 선제적 재해예방 시스템을 확대하고 에너지 저장장치(ESS) 설치를 통한 친환경 에너지 인프라 구축, ICT 신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 등의 개발도 추진할 방침이다.
김경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