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시장 하강… P2P 경고등

대부분 업체 부동산 대출 집중
투자자 보호 마땅한 대책 없어

올 하반기 부동산시장 경기가 하강 국면에 들어설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개인 간(P2P) 금융업체 대출 건전성에 적신호가 켜졌다. 대부분 P2P업체가 부동산 관련 대출에 주력하고 있는데다 시장이 위축돼 건전성이 악화할 경우 투자자를 보호할 마땅한 대응책이 없는 탓이다.

 

21일 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말 회원사 총 누적대출액 1조 2천92억 원 가운데 부동산 관련 대출은 6천746억 원으로 56%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건축자금 대출 성격인 프로젝트파이낸싱(PF)은 4천112억 원으로 전체 부동산 대출의 61%에 달했다. 그러나 이 같은 대출 구조는 부동산 시장 하향 가능성과 맞물려 부실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2017년 상반기 부동산시장 동향 및 하반기 전망’에 따르면 올 하반기 국내 부동산시장은 상승폭이 둔화하거나 하락세로 전환되는 지역이 늘어나면서 전국 주택매매가격 변동률이 올 상반기 대비 0.1%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정부가 고강도의 8·2 부동산 대책을 내놓은 이후 실물 경기가 얼어붙을 수 있다는 우려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시장이 위축될 경우 부동산 P2P 투자자들의 피해는 불가피하다. 특히 P2P는 원금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위험성은 더 커질 수 있다. 더욱이 PF 상품의 담보는 미래에 지어질 건물의 가치를 추정한 것이어서 불확실성이 굉장히 높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예컨대 P2P업체가 아직 지어지지 않은 건물의 미래 가치를 20억 원으로 추산했지만 완공된 이후 부동산 경기가 나빠지면 실제 가치는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미분양이나 공사 중단의 위험도 상주한다.

 

그러나 투자자를 보호할 마땅한 방법은 딱히 없는 실정이다. 이승행 P2P금융협회 회장은 “PF 상품은 담보대출과 다르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면밀하게 분석하고 투자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조성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