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銀 경영전략 거부권 10월 만료 사업재편 가능성 커져
黨 대표단, 부평공장 방문… 군수구청장協도 오늘 토론회
인천지역 정치·경제계가 오는 10월 산업은행의 한국GM 경영전략 거부권 만료로 논란에 휩싸인 ‘한국GM 철수설’ 공동대응에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22일 인천 정가에 따르면 이정미 정의당 대표와 김응호 인천시당위원장, 김상용 부평구위원장, 이소헌 부평구의원 등 정의당 대표단은 이날 한국GM 부평공장을 방문해 한국GM 철수설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다.
정의당 시당 관계자는 “산업은행 비토권 만료에 따른 단기적 대책 필요성과 최근 3~4년간 지속적인 물량이 줄어든 것에 대한 근본 대책을 인천지역사회와 공동으로 마련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한국지엠 지분 17.03%를 보유한 산업은행은 지난 2010년 지엠대우와 장기 발전 기본 합의서를 체결, 경영전략에 대해 거부권을 갖고 있다. 그러나 오는 10월 협약 만료로 사실상 글로벌GM 측의 한국GM 사업 재편을 막을 수 없어 논란이 되고 있다. 실제로 산업은행은 최근 발표한 ‘한국GM 사후관리 현황’보고서를 통해 글로벌GM의 대내외 경영여건 악화 등을 이유로 한국GM 철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GM 후임 사장에 현 GM 인도 카허카젬 사장이 임명된 것도 철수설에 불을 지피고 있다. 카허 카젬 사장이 재임하던 올 상반기 글로벌GM은 1조원이 넘는 인도 생산설비 증설계획을 취소하는 등 사실상 인도지역 철수가 가시화됐기 때문이다. 인도와 한국의 상황이 다르긴 하지만 글로벌GM의 사업재편 움직임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인도에 이어 한국 시장의 사업재편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설령 한국GM이 국내에서 철수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나설 경우 인천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위기감이 지역사회에서 제기된다. 한국GM을 중심으로 한 자동차 산업은 자동차산업은 인천지역 제조업 매출의 13.6%, 지역 수출의 19.7%를 차지하는 등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남동·주안·부평 등 인천 3개 국가산단 내에 자동차 부품업체가 상당수 입주하고 있어 사업재편이 산단 입주기업들에게도 적지않은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
이런 가운데 인천 군수구청장협의회는 23일 인천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실에서 ‘한국지엠 사업재편 움직임에 따른 토론회’를 개최한다. 토론회에서는 한국GM 철수에 따른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폐업 및 실업률 증가에 따른 지역경제 파탄, 매각 및 구조조정 과정에서 대량해고 및 노동쟁의로 인한 사회적 비용과 지역상권 쇠락, 내수판매 둔화 등의 문제를 논의하고 정부 차원의 대책을 촉구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부평구의 한 관계자는 “한국GM 철수는 부평만의 문제가 아니라 부품업체가 많은 남동국가산단 등 인천 전지역의 현안인 만큼 일선 지자체가 통일된 목소리를 내야 한다”며 “인천 지역사회의 견해를 모아 정부에 대책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