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당적 협력” vs “안보 라인 경질”… ‘北 미사일 도발’ 여야 안보공방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이튿날인 30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전화통화를 한 데 대해 ‘뒤늦은 전화외교’라는 지적이 제기되는 가운데 여야 간 안보 공방도 더욱 가열되는 양상이다.

 

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 등 야3당은 북한의 군사도발에 대한 문재인 정부의 대응을 문제 삼아 총공세를 펼친 반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이를 정치공세로 규정, 정면충돌했다.

 

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는 이날 당 대표 및 최고위원·초선의원 연석회의와 안보 관련 긴급 기자회견에서 “방사포와 탄도미사일을 구분 못 하고 상황 분석을 안일하게 하고 있는 청와대 안보라인은 반드시 경질해야 한다”고 비판하면서 여야 지도부가 참여하는 ‘초당적 안보연석회의’ 개최를 제안했다.

 

정 원내대표는 이어 “어제(2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베 총리 간 전화통화에서도 지금은 대화할 때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는데도 문 대통령은 아직도 대화를 구걸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이날 양평에서 열린 의원 워크숍에서 “안보에서는 무능도 죄다. 한 치 앞도 모르는 정부·여당의 무능이 불안하다”며 지원 사격에 나섰다.

 

안 대표는 또한 “나약하게 북한과의 대화를 기다릴 것이 아니고 강인하게 대화를 견인해야 한다”면서 정 원내대표가 제안한 안보연석회의에 대해 “여야를 모두 포괄해 안보문제를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바른정당 이혜훈 대표는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국회의원·원외위원장 연석회의에서 “문 정부는 대북문제에 대해서는 기-승-전-대화라는 대북기조를 즉각 포기해야 한다”며 “안보정책과 대북노선을 전면 수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정부는 구체적인 군사적 대응전략을 마련할 것을 촉구한다”면서 “아울러 군사옵션을 미·일과 사전에 적극 공조해 달라”고 요구했다.

 

반면 민주당은 야당의 문제제기에 대해 “정치공세에 불과하다”며 선을 그었다. 추미애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안보문제는 국익 관점에서 초당적으로 풀어야 할 현안”이라면서 “안보문제만큼은 정쟁을 자제해달라”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안보 문제를 정쟁의 대상으로 삼는 것 자체가 국민의 안전과 국가 안위에 나쁜 영향을 준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송우일·구윤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