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 ‘사고 불안’ 이용기피… 기계식주차장 어쩌나?

인천시·郡·區, 애물단지 전락 골머리 관리 갈수록 어렵고 유지비도 눈덩이
서구, 조례 개정 철거 근거 마련했지만 자주식 주차공간 확보 막막 지지부진

인천시와 일선 자치구들이 애물단지로 전락한 기계식주차장 문제에 대한 해법을 찾지 못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31일 인천시에 따르면 도심의 주차난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도입된 기계식주차장은 인천에 2천286기가 설치돼 있다.

 

기계식 주차장은 유지비와 관리비, 수리비에 대한 부담이 커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용자의 발빠짐, 자동차 추락 등의 안전사고 위험도가 높고, 정상적으로 운영돼도 주차비를 지불하는 것을 꺼리는 시민들은 기계식주차장 인근에 불법주차를 선호하고 있다.

 

서구는 지난 3월 정부의 방침에 따라 인천에서는 최초로 ‘인천시 서구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를 개정해 5년 이상이 된 기계식주차장에 대해 주차면을 2분의1로 철거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하지만 서구는 146기 가운데 5기밖에 철거하지 못해 조례안이 실효성을 보지 못하고 있다.

기계식주차장의 주차면을 2분의 1로 줄이는 대신 줄어든 2분의 1을 자주식주차장으로 채워야하기 때문에 자주식주차장용 부지 확보가 어려워서다.

 

계양구도 이 같은 조례를 만들 예정으로, 계양구의회는 9월 1일부터 열리는 제201회 임시회에 ‘인천시 계양구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발의했다.

 

그러나 계양구는 조례안이 통과돼도 기계식주차장의 문제점 해결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계양구 관계자는 “기계식주차장은 시간이 지날수록 녹이 슬고 관리하는게 어려워진다”며 “계양구에서 80%의 기계식주차장이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조례가 통과돼도 서구의 경우처럼 큰 효과를 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인천의 인구와 세대수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시는 정부 방침에 따라 주차면을 130% 확보해야 하는 상황으로 현재 99.3%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인천에서는 도시형생활주택 건설이 늘어나면서 도시형생활주택이 확보해야 할 주차면은 1실당 1대로, 전국 지자체(0.3~0.6대)보다 높아 주차면 확보가 절실하다.

 

시 관계자는 “제조업체들의 기계식주차장 기술개발이 지난 10년동안 이루어지지 않아 앞으로 문제점은 더 늘어날 것”이라며 “업체들이 기계식주차장에 대해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백승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