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북한의 (정권수립 기념일인) 9월9일이나, 당 창건일인 10월10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정각 발사 가능성을 점쳐 한반도가 또다시 긴장감에 휩싸일 것으로 보인다.
국정원은 4일 북한의 6차 핵실험과 관련해 “북한이 풍계리에 3~4번 갱도를 준비했기 때문에 언제든지 핵실험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국정원은 “북태평양에 추가로 정상각도의 미사일 도발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국회 정보위원회 이철우 위원장과 여야 간사들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국정원 서훈 원장으로부터 이런 내용의 보고를 받았다고 전했다.
회의에서 국정원은 “북한인 (이번 핵실험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을 지켜보고 있다. 잠수함탄도미사일(SLBM)인 북극성-3형을 시험 발사하거나, 화성-12호(IRBM·중거리미사일), 화성-14호(ICBM) 등을 정상각도로 북태평양에 추가 도발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국정원은 “북한이 (정권수립 기념일인) 9월9일이나, 당 창건일인 10월10일에 긴장정세를 조성하고 체제결속을 도모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국정원은 추가 핵실험 문제에 대해서는 “풍계리는 당분간 6차 핵실험에 따른 정비활동을 할 것으로 보이지만, 추가 핵실험이 (가능한) 갱도가 있어 관련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풍계리 위치는 만탑산으로, 고도가 2천200m가량 된다”며 “거기 갱도를 (북한이) 전부 개발했는데 1번 갱도는 1차 실험 뒤에 폐쇄했고 2번 갱도에서 2~6차 실험을 했으며, 3~4번 갱도도 준비해 언제든 핵실험이 가능하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북한의 핵실험 강행 의도에 대해서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ICBM을 발사한 데 이어 사실상 핵보유국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핵 능력 고도화의 일환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