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주민참여 예산정책토론회
인천경제의 재도약을 위해서는 지역현안에 대한 중앙정부의 협력을 이끌어내고 비효율적 규제를 철폐해 시민이 주도하는 경제주권 확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일 인천 연수구 송도동 G-Tower 대강당에서 열린 ‘2017 주민참여 예산정책토론회’에서 토론자로 나선 김재식 인천상공회의소 서북부사무소장은 “지속가능한 경제정책 추진을 위해 인천시를 주축으로 해 정계·기업계는 물론 시민 등 경제주체들의 협력이 절실하다”며 “인천경제주권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 협력을 이끌어내고 비효율적 규제를 철폐해 시민이 주도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소장은 “뿌리산업 관련 일자리 창출사업은 2018~2022년 취업지원센터와 취업지원금 등 5년간 123억원을 지원하는데 연 평균 25억원이 채 안되는 실정”이라며 “지역·산업맞춤 일자리 창출지원사업의 경우 2018년 이후 4년간 매년 40억원규모인데 이 역시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인재 인천대 교수는 일자리 예산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통해 시가 일자리 정책 추진체계를 확립하고 체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교수는 “일자리 예산규모는 점진적인 확대가 필요하고 시 고용전략 수립과 이에 따른 고용정책을 개발해야 한다”며 “일자리 사업에 대한 체계적 사후 평가를 통해 일자리 사업 효율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홍성 인하대 교수는 ‘글로벌 인천 창업생태계 조성 전략’을 통해 영국 런던과 미국 뉴욕 등 글로벌도시의 창업생태계 조성의 예를 들며 인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등을 통해 청년일자리 창출에 기여 해야 한다는 견해를 내놨다. 또 장기정 농협중앙회 인천지역본부 경영기획단장은 고품질화, 안전농산물 공급 체계 구축이 절실하다며 내년도 농정예산을 증액편성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시 일자리경제국과 투자유치산업국, 경제자유구역청, 주민참여예산 경제산업분과 위원회가 공동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는 내년도 경제산업분야의 전반적인 예산편성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관계전문가와 공무원, 시민 등 정책수요자가 함께 머리를 맞대는 시간으로 진행됐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