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파동 이후 40%나 폭락 했는데”
소비자들, 마트 판매가 6.3~7.7%↓ 비판
‘살충제 계란’ 파동으로 계란 산지 가격은 40% 가까이 폭락했지만 대형마트에서는 계란 가격이 여전히 비싸 소비자들의 불만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조류인플루엔자(AI)로 계란 수급이 달리자 대형마트 계란 가격이 급등한 것과 비교하면 인하 폭은 ‘찔끔’에 그치고 있다는 것이다.
5일 대한양계협회에 따르면 살충제 계란 사태가 일어나기 전인 지난달 11일 169원이었던 대란 1개 산지가는 파동 발발 이후인 18일 147원, 22일 127원, 25일 117원, 30일 105원으로 37.9%나 급락했다.
산지 가격이 이처럼 하락하자 대형마트 3사는 지난달 26∼27일 30개들이 계란 한 판 가격을 일제히 5천980원으로 내렸다. 이마트는 전체 계란 판매 가격의 기준이 되는 알찬란 30구(대란 기준) 소비자가를 기존 6천480원에서 5천980원으로 7.7% 인하했다.
홈플러스와 롯데마트의 인하 폭은 각각 6.3%였다. 계란 산지가는 40% 가까이 떨어졌지만, 대형마트 3사가 인하한 가격은 6.3∼7.7%에 그친 것이다. 이에 대해 대형마트 측에서는 대형마트들과 장기 계약을 맺은 업체들의 공급가가 산지 가격보다 높아 더는 소매가를 인하하기는 어렵다고 해명한다.
하지만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계란 매출이 떨어졌는데도 대형마트가 명절 수요를 노리고 가격을 더욱 인하하지 않고 버티는 것 아니냐는 불만도 나온다.
주부 한 모 씨(36)는 “지난해 AI가 터졌을 때는 소매가가 1만 원에 달할 만큼 큰 폭으로 올려놓고 가격을 내릴 때는 생색내기 수준으로 하는 것 같다”며 “어차피 명절에는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해 가격 버티기를 하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현재 가격에서 가격을 더 내리면 계약농장의 공급가가 생산원가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당장 가격을 내리기는 어렵다”며 “다만, 산지 가격이 계속 하락한다면 협력업체와 협의해 추가 가격 인하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