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최대 저축은행 가계대출 20조원 넘어…“대출규제 풍선효과”

1년새 20% 급증…“전체 가계대출 1.4%여도 금리 높아 부담”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20조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1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전국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20조1천864억원으로 나타났다. 한은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7년 12월 이후 사상 최대 수준이며 통계 이후 최초로 20조원 문턱을 넘어섰다.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작년 7월 말(16조6천920억원)과 비교하면 1년 사이에 3조4천944억원(20.9%)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2011년 12월 말(10조1천819억원)에 비해 5년 7개월 만에 2배로 증가했다. 올해 들어서는 하반기 증가세가 다시 가팔라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 저축은행 가계대출 증가액은 1조5천169억원으로 작년 상반기(2조1천60억원)의 63% 수준이다. 6월에는 1천397억원 줄었으나 7월에는 3천846억원 늘면서 증가액이 2월(5천41억원) 이후 5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12일 발표한 ‘8월 가계대출 동향(잠정)’에서 저축은행 가계대출이 신용대출 중심으로 약 4천억원 늘었다고 밝혔다. 하반기 들어 7∼8월 두달 동안 8천억원 정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지난 6월 저축은행들이 일시적으로 건전성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가계대출을 보수적으로 취급했다가 7∼8월 들어 증가세가 평소 수준으로 늘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8·2 부동산 대책’ 등의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해 은행권 가계대출 수요가 저축은행으로 이동하는 ‘풍선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은행에서 대출을 받지 못하는 가계가 저축은행과 대부업체 등을 찾는 가계대출 풍선효과가 계속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전체 가계부채(약 1천400조원)의 1.4%에 불과해도 가계부채의 취약고리로서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신용·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이 저축은행을 많이 찾기 때문이다. 특히 저축은행은 금리가 높아 가계의 상환 부담으로 크게 작용한다.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통계를 보면 지난 7월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금리는 연 15.23%(신규취급액 기준)로 예금은행(3.46%)의 4.4배 수준이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