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총부가가치 중 정보통신 10% 넘어…OECD 평균 2배

삼정KPMG “4차산업 기반 기술 도입해 신규 영역 확보해야”

▲ 연합뉴스
▲ 연합뉴스

한국의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의존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2배 가량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회계법인 삼정KPMG가 발간한 ‘인수합병(M&A)으로 본 ICT 산업(2009∼2017년)’ 보고서에 의하면 한국은 총부가가치(GVA)에서 ICT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10.7%로 집계됐다. 이는 OECD 국가의 평균치(5.5%)의 2배 수준이다.

ICT 제품은 한국 수출 품목 중 주를 이뤄 지난해 ICT 제품의 수출 규모는 약 143조원으로 전체의 25.6%를 차지했다. ICT 산업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국가 간 M&A 거래도 활발해지고 있다. 글로벌 ICT 산업 M&A 시장에서 국가 간 인수합병은 2009년 27.0%에서 지난 5월 기준 34.6%로 증가했다.

한국의 경우 외국 ICT 기업과의 M&A 거래는 동기간 13.1%에서 30.6%로 급격히 올랐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한국 기업은 주로 미국(52건)과 일본(22건), 캐나다(8건), 중국(6건)의 ICT 기업을 인수했다.

다만 중국 기업의 해외 ICT 기업 거래 건수가 크게 늘면서 중국 기업이 한국 기업을 인수한 건수(13건)는 그 반대의 경우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삼정KPMG는 “ICT 산업 M&A 비중이 큰 것은 다양한 산업과 ICT 융합이 가속하기 때문이다”며 “산업과 지역의 경계를 넘어선 M&A 추진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기반 기술들을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ICT 서비스 영역을 창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