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박근혜 자진탈당 권유… 옛 친박계 반발
바른정당은 ‘자강’ 유승민 vs ‘통합’ 김무성 엇박자
한국당 류석춘 혁신위원장은 13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2016년 4월 총선 공천 실패로부터 지난 5월 대선 패배에 이르기까지 국정운영 실패에 대한 정치적 책임을 물어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자진탈당’을 권유해야 한다”며 “만약 ‘자진탈당’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당헌·당규에 따른 출당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한 그는 ”계파 전횡으로부터 비롯된 국정 실패에 책임이 가장 무거운 서청원 의원(8선, 화성갑) 및 최경환 의원(4선)에 대해서도 ‘자진탈당’을 권유해야 한다“면서 ”만약 ‘자진탈당’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출당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최 의원 측은 공식대응을 자제한 가운데 다른 옛 친박계 의원들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김태흠 최고위원은 오전 당 대표 및 최고위원·재선의원 연석회의에서 “대여투쟁을 하고 우리가 하나로 가는 시점에 혁신위가 박 전 대통령 자진 탈당 권유 등이 나오면 (이런 흐름을) 중지시킬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에 홍 대표는 기자간담회를 갖고 “혁신위는 종국적인 집행기구가 아니고 한국당의 혁신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한다는 의견을 모아 권고하는 안이다”면서 “이 권고안을 토대로 당내 의견을 모아서 집행여부를 10월17일 박 전 대통령에 대한 1심 판결을 전후해서 논의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는 대여투쟁에 힘을 모아야 하는 상황에서 자칫 당내 불협화음으로 내홍을 불거질 수 있음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바른정당도 이날 자강론과 통합론, 당 지도체제를 놓고 엇박자를 보였다.
전지명 대변인은 오전 국회의원-원외위원장 연석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21명의 원외위원장의 발언이 있었는데 당 대표 권한대행과 비대위 체제를 놓고 다수 위원장이 당이 위기 상황인 만큼 비대위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비대위원장에는 유승민 의원이 적임자 아니냐는 의견이 대다수였다”고 덧붙였다. 유 의원은 대표적인 ‘자강론’자이다.
반면 ’통합론’자인 김무성 의원은 오후 바른포럼 창립기념 강연회에서 “안보경제 등 위기 상황에서 나라와 국민을 먼저 생각하는 건전한 보수세력은 함께 뭉치고 결집해 위기에 맞서야 한다”면서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보수우파가 대결집을 해야 할 때”라며 ‘보수 통합론’을 강조했다.
김재민·구윤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