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홍 휩싸인 보수야당

한국당, 박근혜 자진탈당 권유… 옛 친박계 반발
바른정당은 ‘자강’ 유승민 vs ‘통합’ 김무성 엇박자

▲ 자유한국당 류석춘 혁신위원장(오른쪽 두번째)이 13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제3차 혁신안 발표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과 서청원•최경환 의원의 탈당을 권유하는 내용을 담은 혁신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 자유한국당 류석춘 혁신위원장(오른쪽 두번째)이 13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제3차 혁신안 발표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과 서청원·최경환 의원의 탈당을 권유하는 내용을 담은 혁신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바른정당 등 보수야당이 당내 갈등으로 진통을 겪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내홍이 야권 결집 시나리오로 이어질 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국당 류석춘 혁신위원장은 13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2016년 4월 총선 공천 실패로부터 지난 5월 대선 패배에 이르기까지 국정운영 실패에 대한 정치적 책임을 물어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자진탈당’을 권유해야 한다”며 “만약 ‘자진탈당’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당헌·당규에 따른 출당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한 그는 ”계파 전횡으로부터 비롯된 국정 실패에 책임이 가장 무거운 서청원 의원(8선, 화성갑) 및 최경환 의원(4선)에 대해서도 ‘자진탈당’을 권유해야 한다“면서 ”만약 ‘자진탈당’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출당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최 의원 측은 공식대응을 자제한 가운데 다른 옛 친박계 의원들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김태흠 최고위원은 오전 당 대표 및 최고위원·재선의원 연석회의에서 “대여투쟁을 하고 우리가 하나로 가는 시점에 혁신위가 박 전 대통령 자진 탈당 권유 등이 나오면 (이런 흐름을) 중지시킬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에 홍 대표는 기자간담회를 갖고 “혁신위는 종국적인 집행기구가 아니고 한국당의 혁신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한다는 의견을 모아 권고하는 안이다”면서 “이 권고안을 토대로 당내 의견을 모아서 집행여부를 10월17일 박 전 대통령에 대한 1심 판결을 전후해서 논의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는 대여투쟁에 힘을 모아야 하는 상황에서 자칫 당내 불협화음으로 내홍을 불거질 수 있음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바른정당도 이날 자강론과 통합론, 당 지도체제를 놓고 엇박자를 보였다.

전지명 대변인은 오전 국회의원-원외위원장 연석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21명의 원외위원장의 발언이 있었는데 당 대표 권한대행과 비대위 체제를 놓고 다수 위원장이 당이 위기 상황인 만큼 비대위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비대위원장에는 유승민 의원이 적임자 아니냐는 의견이 대다수였다”고 덧붙였다. 유 의원은 대표적인 ‘자강론’자이다.

 

반면 ’통합론’자인 김무성 의원은 오후 바른포럼 창립기념 강연회에서 “안보경제 등 위기 상황에서 나라와 국민을 먼저 생각하는 건전한 보수세력은 함께 뭉치고 결집해 위기에 맞서야 한다”면서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보수우파가 대결집을 해야 할 때”라며 ‘보수 통합론’을 강조했다.

김재민·구윤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