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도심 새로 짓는다…전국 첫 ‘스마트시티 기술’ 접목

市, 인천대·글로벌기업 지멘스·포스코건설과 업무협약
실무추진단 구성… 교통·방범 등 5대 공공서비스 적용
클라우드 IoT 디지털 솔루션 개발·캠퍼스 구축 협력

인천시가 전국 최초로 원도심 도시재생사업에 스마트시티 기술을 접목한다. 도시재생사업의 패러다임을 바꿔 인천 전체 원도심에 송도신도시와 같은 스마트시티 플랫폼을 적용하겠다 게 시의 구상이다.

 

14일 시에 따르면 올해 실무추진단 구성 등 스마트시티 기술 실행화 작업에 들어가 이르면 내년부터 단계별로 30만㎡ 이상 원도심에 이 기술을 적용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한다. 

스마트 시티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도시가 해결해야 할 과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고 기능을 극대화해 공공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도시를 말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서울과 부산, 세종 등 신도시 개발에서, 국외에서는 미국, 유럽, 중국, 인도 등에서 도시문제 해결과 경제성장을 위해 스마트시티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시는 2007년부터 스마트시티 정책을 추진, 송도와 청라, 영종 등 경제자유구역을 스마트시티로 건설해 왔다. 또 통합운영센터를 구축해 교통, 방범, 환경 등 5대 공공서비스에 스마트시티 기술을 적용한 바 있다.

원도심에 스마트시티 기술이 도입되면 범죄차량이 도시로 진입하면 바로 유관기관에 연락이 되고, 도로변 가로 등도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자동으로 조절된다. 이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사물인터넷(IoT)이 적용돼 가스·조명·교통안내 등이 실시간으로 주민에게 전달된다.

 

이 같은 종합적인 원도심형 스마트시티 구축은 국내 처음이다.

시는 원도심에 기존 전면철거 방식의 도시정비사업 방식을 탈피,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고유문화를 보존하는 방식의 스마트시티 기술을 도시재생사업에 적용키로 했다. 이를 위해 시는 인천대학교와 글로벌 기업인 지멘스, 포스코건설과 협력키로 하고 ‘원도심 스마트 시티(캠퍼스) 구축 산·학·관 공동 협력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산·학·관 4개 기관은 클라우드 IoT 기반의 독자적인 디지털 솔루션을 개발하고, 지속가능한 원도심 스마트 시티 생태계를 구축해 인천 원도심에 적용한 후 국내 다른 도시와 해외에 기술을 보급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이를 위해 지멘스와 포스코건설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 시티 기술을 활용해 원도심형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시는 종합계획을 수립키로 했다. 인천대는 청정에너지를 활용하는 스마트캠퍼스를 조성한다.

 

시는 이번 업무협약에 앞서 중·동구 일원 인천개항창조도시 등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12개소를 ‘테스트 베드’ 대상구역으로 선정한 바 있다. 원도심에 적합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밑 작업으로 보건·의료·복지·문화·관광·교육·환경 등 11대 분야를 우선 선정해 원도심형 스마트 시티 모델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게 시의 목표이다.

 

시 관계자는 “업무협약에 따라 올해 말까지는 4개 기관이 함께 실무추진단 구성 등 거버넌스 구축에 주력할 계획”이라며 “내년부터는 기술 연구개발과 동시에 지멘스와 포스코의 독보적인 기술을 활용해 에너지 효율화 등 인천 원도심의 스마트화를 진단·분석한 후 향후 단계별로 사업을 확장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