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전국 첫 ‘주거환경개선사업 결합개발’ 추진

대헌학교 뒤·송림4구역 묶어 개발
사업성·임대아파트 ‘두 토끼’ 기대

인천시가 두 개의 인근 구도심 개발지역을 하나의 사업지구로 묶는 ‘주거환경개선사업 결합개발’을 전국 처음으로 추진한다.

 

시는 이 사업 방식을 통해 사업성 확보와 임대아파트 공급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7일 시에 따르면 동구 송림동 37-10번지 일원 대헌학교 뒤 구역과 인접한 송림동 2번지 일원의 송림4구역을 결합개발하는 ‘대헌학교뒤·송림4구역 주거환경개선사업 정비계획 변경(안)’이 15일 시 도시계획위원회를 통과했다.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는 전국 최초로 시도되는 이번 결합개발 방식은 대헌학교뒤 구역에는 일반 분양주택을 공급하고 송림4구역에는 임대주택(행복주택, 영구임대, 공공임대)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기존 구릉지와 역세권을 결합해 용적률을 확보하는 결합개발 방식과는 달리 주거취약계층에게 보금자리를 제공함과 동시에 일반분양을 통해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있다.

 

기존 주거환경개선사업의 경우 전체 부지의 20% 이상 임대주택을 짓게 돼 있어 일반적으로 소규모로 진행되는 원도심 사업은 일반분양 규모가 적어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았다. 1천세대 기준 200세대 이상을 임대주택으로 조성해야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방식은 가까운 두 구역(대헌학교뒤·송림4구역)을 하나의 개발로 묶어 대헌학교뒤는 일반분양(공공분양 920세대), 송림4구역은 임대주택(행복주택 1천세대, 공공임대 172세대, 영구임대 60세대)을 몰아 짓게해 주거취약계층에게는 보금자리를 주고 사업시행사에게는 일반분양을 통해 사업성을 높이게 된다.

 

이들 구역은 노후·불량건축물이 과도하게 밀집해 2008년 정비구역을 지정하고 개별 구역별로 주거환경사업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장기간 개발이 청체된 곳이다. 

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대헌학교 뒤 구역은 분양주택을 배치해 분양성과 사업성을 개선하고 송림4구역은 정부지원이 가능한 행복주택과 영구임대주택, 공공임대주택을 배치해 사업비를 절감하는 최종안을 수립, 이번 도시계획위 심의를 통과하면서 사업이 정상궤도에 올라서게 됐다.

특히 송림4구역이 지난달 말 국토교통부에서 행복주택 1천 세대 후보지로 선정된 것도 두 구역을 결합개발 방식으로 추진하면서 사업성이 높아진 것이 결정적 이유였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시 관계자는 “원도심 주거환경개선사업이 그동안 규모의 경제로 인해 지지부진했던 것을 결합방식으로 해결하는 전국 최초의 사례가 될 것”이라며 “송림4구역은 젊은 층의 유입을 통한 지역활성화는 물론, 청년주거복지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