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청사 계획 변경으로 행정 차질
안전체험관은 건립 방향도 미정
토지매각 답보상태도 불안 요소
인천시가 루원시티 개발사업 본격화를 위해 지난해 말 착공에 이어 토지매각을 진행하고 있지만 앵커시설 유치가 지연되면서 또 다시 답보상태에 빠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7일 인천시에 따르면 루원시티의 앵커시설로 인천시청 제2청사와 종합안전체험관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시는 지하2~지상20층 규모(연면적 4만6천500㎡) 규모로 도시공사,인재개발원,인천발전연구원,종합건설본부 등 8개 기관(근무자 1천여명)이 입주할 제2청사를 지난 5월 착공해 2021년 준공한다는 계획 이었지만, 각종 행정 절차 지연으로 2020년 착공, 2022년 준공으로 계획을 변경했다.
변경된 계획 상만으로 기술적타당성(최소 7개월), 재정적타당성(최소 7개월), 중앙투자심사(최소 3개월) 등의 절차로 최소 1년 5개월의 시간이 필요하다.
특히 변경된 계획 상의 행정 절차는 행정안전부 등 정부 기관이 수행하는 절차로 보완 조치 등에 따라 1~2년씩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
시 관계자도 “변경된 계획은 최소 1년 5개월 이상 걸린다는 의미일뿐 사실상 행정 절차가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2022년 준공은 말 그대로 계획에 불과하다는 뜻이다. 루원시티의 또 다른 앵커시설인 종합안전체험관은 건립 방향 조차 확정되지 않았다.
앞서 340억원상당 체험관을 계획한 시는 2016년 행정자치부의 지방재정 중앙투자사업 심사를 통과하지 못했다. 사업비의 50%인 170억원을 국비로 지원받고자 했지만 재원 마련 방안이 불투명하다며 행안부가 이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국민안전처가 200억원짜리 체험관이 적정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국비는 50%인 100억원을 지원한다는 입장도 내놨지만, 시가 끝까지 340억원상당 체험관을 짓겠다는 계획을 고집해 무산됐다. 결국 시는 세월호 추모 사업을 연계해 종합안전체험관을 짓는 안을 내논 상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루원시티 토지매각 상황이 답보상태에 머무르고 있는 점도 불안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루원시티는 현재 2020년까지 공공시설과 기반시설 등 미매각용토지를 제외한 토지를 매각해 개발하는 방식을 택했다. 지난 7월말 기준 전체 매각대상 토지 49만8천521㎡중 상업시설 주변의 주상복합 5개 필지와 공동주택 1개 필지가 매각됐다.
남은 토지는 상업용지 등 50필지 28만8천58㎡다. 답보상태인 앵커시설 유치와 함께 상업용지가 단 한필지도 팔리지 않으면서 도시개발이 언제 완료될 수 있을 지 더욱 알 수 없게 됐다.
시 관계자는 “제2청사와 종합안전체험관 등 앵커시설의 경우 행정절차상 시간이 필요한 것”이라며 “토지매각은 입지조건이 좋기 때문에 건설·시행사의 관심이 높아 원활히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루원시티 개발은 인천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동 시행하는 사업으로 인천 서구 가정동 일대 93만3천916㎡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