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경찰, 시의 ‘하굣길 길동무’ 사업…형식에 그쳐

인천시가 초등학생들의 안전 귀가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하굣길 길동무’ 사업이 겉돌고 있다.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매뉴얼이 없는데다 일선 주민센터의 관리가 허술하기 때문이다.

 

18일 시에 따르면 지난달 21일부터 오는 12월까지 노인과 경력단절여성 인력을 활용해 하굣길 초교생들의 안전 귀가를 돕는 ‘어린이 하굣길 길동무’ 사업을 하고 있다.

 

이 사업은 어린이 대상 범죄를 예방하고, 취업취약계층인 경력단절여성과 노인들에게 지역공공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한 달 급여는 60여만원이다.

 

하굣길 길동무는 인천지역에 40~64세 경력단절여성 266명과 65세 이상 노인 192명 등 총 458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초등학교 인근에서 순찰활동을 벌이며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휘슬을 불어 위급함을 주변에 알리며 인천지방경찰청과 지역경찰서, 주민센터 등으로 연락한다.

 

하지만 경찰은 이 사업이 형식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구와 주민자치센터 담당자들이 운영방법을 몰라 성격이 비슷한 경찰의 ‘아동안전지킴이’ 운영요령을 구에 알려줬다”며 “하지만 주민센터는 노인들의 출결 정도만 확인하고, 관리감독에는 여력이 없어 부담스러워 한다”고 전했다.

 

또 다른 경찰 관계자는 “시가 사업을 충분히 준비하지 않고 아동 범죄 예방사업을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며 “이 사업이 노인들의 일자리 창출에 힘이 실린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주민센터는 일주일에 2차례 동행순찰을 하는 수준이다. 특히 건강이 나쁜 노인들이 순찰을 돌때 안전사고가 우려돼 이들의 건강상황을 확인하는데 신경을 쓰고 있다.

 

부평구의 한 주민센터 관계자는 “주민센터의 업무가 많지만 지시사항이라 안할 수도 없어 적당히 출결확인과 동행순찰 등만 하고 있다”며 “사실상 매뉴얼 숙지와 철저한 관리감독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매뉴얼에 대해 경찰과 협의해 방향을 정하겠다”며 “노인 일자리 해결을 해소하려다보니 현장에서 노인건강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 모든 사항들을 해결할 방안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백승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