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극동지역개발, 한국 신북방정책과 교차점 있어”

중소기업연구원 보고서 “에너지 협력 등 3트랙 펼쳐야”

▲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연합뉴스
▲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연합뉴스

[서울경기일보=민현배 기자]우리나라가 러시아 극동지역개발에 정부가 나서서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0일 중소기업연구원은 ‘신(新)북방시대, 극동지역개발 추진 현황과 진출 과제’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극동지역개발은 에너지수출 주도 경제구조를 개선하고 아시아태평양 경제권에 들어가기 위해 러시아가 추진하는 신동방정책의 3개 개발전략 가운데 하나다. 여기에는 중국, 일본, 북한 등 주변국 역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극동진출 전략 없이 일부 기업들이 단편적으로 진출하는 상태다.

김상훈 연구위원은 “한국의 신북방정책과 러시아의 신동방정책의 교차점이 극동지역개발에 있다”며 “정부가 필요한 정책 지원 토대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신북방정책 방향은 러시아 극동 지역과 중국 동북 3성, 중앙아시아 국가, 몽골 등 유라시아 국가들과의 경제협력을 체계적으로 활성화했다.

김 연구위원은 “유라시아 시대를 대비하는 북방경제협력이라는 기조에서 따라 극동지역개발 협력 로드맵을 구축해야 한다”며 “‘에너지전력망·교통망 구축 협력’, ‘극동지역개발 협력’, ‘평화다자협력기반 조성을 위한 접경지역 협력’ 등 3트랙 전략을 펼쳐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기업은 잘하는 분야가 아니라 극동이 원하는 분야에 진출해야 한다”며 “수입대체산업 진입의 장단점, 기피 산업에 대한 타당성 등 진출에 필요한 여러 사항 등을 준비해야 한다”고 전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