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포럼(B.I.G Forum) 2017 개막…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과 미래 비전 공유

▲ ‘빅포럼(B.I.G FORUM) 2017’이 개막한 20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남경필 경기지사가 기조 강연을 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글로컬(GLOCAL)의 진화’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세계적 석학과 글로벌리더들이 대거 참석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이 미치는 영향과 전망에 대한 의견을 나눈다. 오승현기자
▲ ‘빅포럼(B.I.G FORUM) 2017’이 개막한 20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남경필 경기지사가 기조 강연을 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글로컬(GLOCAL)의 진화’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세계적 석학과 글로벌리더들이 대거 참석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이 미치는 영향과 전망에 대한 의견을 나눈다. 오승현기자

세계적 석학들이 참여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과 미래 비전을 공유하는 ‘빅포럼 2017’(BIG·Bigdata Initiative of Gyeonggi)이 20일 성남 판교신도시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렸다.

 

경기도와 서울대가 공동 주최하고 경기콘텐츠진흥원이 주관한 이번 포럼은 기술 변화에 따른 일자리 영향에 관한 연구로 유명한 칼 베네딕트 프레이 옥스포드대 교수를 비롯해 제러미 리프킨 경제동향연구재단 이사장, 지오바니 쉬우마 런던예술대 교수,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 등 세계적 석학들이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성낙인 서울대 총장, 신항철 경기일보 대표이사 사장, 오창희 경기콘텐츠진흥원장 등 300여명의 관계자가 자리를 함께했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이날 ‘경기도의 4차 산업혁명 글로컬 리더십’이란 주제로 한 기조연설을 통해 “4차 산업혁명 목표는 인간의 행복이고 기술발전은 인간을 행복하게 하는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면서 “AI·빅데이터 같은 기술 발전에 따른 혁명이 일으킬 미래에 대비해 국가·사회 간 합의기구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프레이 교수는 기조연설을 통해 ‘일의 미래: 이 시대는 다르다(The Future of Work : Is This Time Different?)’를 주제로 과거 산업혁명시대 일자리의 변화를 진단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의 미래를 예측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산업혁명시대부터 악화돼 온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면서 “인공지능 도입 등 자동화에 따라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겠으나, 기존 노동체계 변화와 혁신 기술을 보호하는 관련 법 정비로 새로운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빅포럼(B.I.G FORUM) 2017’이 개막한 20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남경필 경기지사가 기조 강연을 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글로컬(GLOCAL)의 진화’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세계적 석학과 글로벌리더들이 대거 참석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이 미치는 영향과 전망에 대한 의견을 나눈다. 오승현기자
▲ ‘빅포럼(B.I.G FORUM) 2017’이 개막한 20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남경필 경기지사가 기조 강연을 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글로컬(GLOCAL)의 진화’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세계적 석학과 글로벌리더들이 대거 참석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이 미치는 영향과 전망에 대한 의견을 나눈다. 오승현기자

남경필 도지사, 프레이 교수 등 기조연사는 연설 뒤 진행된 토크콘서트를 통해 빅포럼 주제인 일자리와 공유경제, 제조혁신을 논의했다.

 

오후에는 리프킨 이사장의 특별 실시간 영상 강연이 이어졌다. 또 쉬우마 교수와 이형우 마이다스아티 대표, 박신환 경기도 일자리노동정책관은 4차 산업혁명 주요 어젠다인 일자리 자리의 진화를 주제로 연사 발표를 하고, 토론을 진행했다.

 

행사장에서는 포럼 이외에도 4차 산업혁명 관련 학술대회를 비롯해 빅데이터 해커톤, 코딩 및 레고 로봇 교육, VR 체험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치러졌다. 4차 산업혁명 관련 전문연구 결과물을 체험하는 자리도 만들어졌다.

 

이번 빅포럼에는 학계와 산업계 일반인 등 300명이 넘는 청중이 몰려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을 표명했다. 빅포럼은 21일까지 진행된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참가비는 없다. 자세한 행사내용이나 일정은 포럼 공식 홈페이지(bigforum.or.kr)나 사무국(031-5171-5566)에서 확인할 수 있다.

 

조성필ㆍ수습 권오탁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