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의 대표브랜드인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막대한 국민 혈세를 잡아먹는 ‘애물단지’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권칠승 의원(화성병)이 중소벤처기업부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센터별 지출내역 및 대기업 지원 추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세워진 지난 2015년부터 현재까지 매년 사업비보다는 유지비(운영비 및 시설비)가 더 많았다.
경기센터는 유지비의 경우 지난 2015년 9억 1천800만 원, 지난해 9억 6천500만 원 등이었던 반면 사업비는 각각 5억 6천700만 원, 6억 3천200만 원에 불과했다. 인천센터 역시 유지비는 지난 2015년 11억 6천900만 원, 지난해 10억 6천100만 원이었지만 사업비는 각각 3억 7천500만 원, 5억 9천만 원이었다.
더욱이 창조경제혁신센터에 대한 전담기업의 지원은 매년 줄어든 반면 국비투입은 계속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전담기업의 지원 규모는 지난 2015년 538억 7천600만 원, 지난해 184억 4천100만 원, 올해 7월 현재 54억 6천800만 원 등으로 가파르게 감소했다.
반면 창조경제혁신센터에 투입된 국비와 지방비는 지난 2015년 474억 4천800만 원, 지난해 543억 600만 원, 올해 7월 현재 623억 5천600만 원 등 급격히 늘었다.
권 의원은 “박근혜 정부의 야심작이었다 할 수 있는 창조경제혁신센터가 ‘혈세 잡아먹는 하마’로 전락했다” 며 “기존 인력과 시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