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前대통령 구속연장·친박계 징계수위 결정 후 결단 예상
김무성 “마지막까지 당대당 통합 최선”… 비판 여론 변수
보수진영의 통합·재편 움직임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자유한국당이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출당 절차를 서두르며 바른정당 의원들을 향한 구애의 손길을 내밀고 있는 가운데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의 탈당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당 대 당 통합’ 보다는 ‘부분 통합’에 무게가 실린다.
12일 양당에 따르면 한국당은 이번 주 내로 예상되는 박 전 대통령 구속 기간 연장 여부가 결정되는 대로 당 윤리위원회를 열어 박 전 대통령과 서청원(화성갑)·최경환 의원 등 옛 친박(친 박근혜)계 핵심에 대한 징계 수위를 결정할 전망이다. 지난달 13일 당 혁신위원회의 권고안대로 ‘자진탈당’을 권유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당 윤리위의 결정이 나오면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의 탈당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승민 의원을 필두로 자강파 의원들이 강력 반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파 의원들은 끝내 자강파 의원 설득에 실패할 경우 비난 여론을 감수하며 탈당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합파 의원들의 탈당이 현실화되면 바른정당은 교섭단체가 무너진다.
이에따라 관심의 초점은 바른정당 의원들에게 모아지고 있다.
김영우 최고위원(포천·가평)이 이미 주호영 대표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에게 보수우파통합추진위원회(통추위)를 구성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지만 통합과 통추위 구성을 놓고 찬·반 의견이 크게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통합파는 의견이 모이지 않을 경우 독자적으로 통추위 구성을 강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통추위는 양당과 외부 보수세력도 아우르는 통합 플랫폼이 되기 위해 양당에서 각 3명, 중량감있는 외부 인사 3명 등 9명 선으로 구성하고, 위원장은 전직 국회의장 등 보수진영의 원로 혹은 외부 명망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통합파를 이끌고 있는 김무성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당 대 당 통합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당내 설득이 안 되면) 당 대 당 통합에 준하는 그런 방법을 모색해 보겠다”고 밝혀 사실상 집단 탈당과 부분 통합 가능성을 내비쳤다.
하지만 한국당에서 박 전 대통령과 서·최 의원 징계가 이뤄질 경우 옛 친박계 의원들의 집단 반발 가능성이 있고,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의 탈당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셀 경우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바른정당을 탈당한 의원들이 일정 기간 무소속으로 남을 가능성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11.13’ 바른정당 전당대회 이전에는 통합을 마무리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어 다음 달 초반에는 통합의 윤곽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김재민·구윤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