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부터 시작되는 인천시 국정감사에서는 ‘송도 6·8공구 개발 의혹’을 비롯해 수년간 숙제로 남아 있는 각종 현안을 두고 여·야가 치열한 기싸움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22일 시에 따르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23일, 행정안전위원회는 오는 27일 각각 인천시 국감을 실시한다. 2개 상임위 국감이 인천시에서 잇달아 열리는 건 이례적인 일이다.
이번 인천시 국감에서는 인천경제자유구역 개발 현안에 대한 질의가 집중될 전망이다. 시에 관련 자료를 요청한 각 상임위원회 소속 국회의원이 20명이 넘었으며 자료 수도 1천건을 훌쩍 넘겼다.
송도 6·8공구 개발 이익 환수 의혹이 국감장의 뜨거운 감자가 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송도 6·8공구 의혹은 지난 8월 정대유 전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차장이 자신의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 송도 6·8공구 사업과 관련한 각종 특혜와 유착 의혹을 제기하면서 촉발됐다. 국토위 국감에는 이 문제와 관련된 정 전 차장과 이정근 송도랜드마크시티 유한회사(SLC) 대표가 증인으로 채택됐다.
송도국제도시의 쓰레기 자동집하시설과 관련된 문제도 집중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송도국제도시 자동집하시설(4공구)의 경우 설계대비 8.1%(설계값 1만786 대비 운영값 872t)의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음에도 t당 전력비가 설계값의 2천%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박완수 자유한국당 의원 등이 공구별 운영이 정상적인지, 전력비 과다의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파고들 전망이다.
이외에도 송도1·3공구 IBD(국제업무단지) 민간사업자간 다툼 문제, 제3 연륙교 조기 착공 문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도로 및 지하화 문제, 인천시 부채감축 실체 의혹 규명, 경인아라뱃길 여객선 운항 문제, 수도권매립지 이관 문제 등이 국감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27일 행정안전위에서도 송도 6·8공구 문제가 집중 공략 대상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차기 인천시장 후보로 거론되는 박남춘 더불어민주당 의원(인천남동갑)이 과거 6·8공구 토지리턴제 계약과 관련한 민간사업자와의 계약내용을 요청하는 등 유정복 시장 취임 후 송도 개발사업의 문제점 여부를 세세히 들여다 보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인천시와 관련한 2개 상임위 국감이 잇달아 열리는 것 자체가 이례적인 일이지만, 반대로 그만큼 인천에 정치권의 관심이 필요한 현안 사안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번 국감에서 6·8공구 문제 등 지역 현안에 대한 속 시원한 질의가 앞으로 해법을 마련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