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로 숨 가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는 정치권이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 통합 혹은 연대 등을 위한 물밑접촉을 계속하고 있어 국감 이후 정계개편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뤄질지 주목된다.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현재 가장 관심을 끄는 시나리오는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제3지대’ 형성이다.
양당의 연합은 낯설지 않은 조합이다. 경기도의회의 경우 지난 5월 바른 정당 11명, 국민의당 5명 도의원이 모여 도의회 사상 최초로 ‘국민바른연합’이라는 새로운 교섭단체를 구성한 바 있다.
하지만 국회에서는 국민의당이 도의회와 달리 원내 40석으로 독자적인 교섭단체 지위를 획득하고 있다. 따라서 국회법상 가능한지 따져봐야 하며 가능하다고 해도 양당이 합의를 도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다만 양 당은 연일 이와 같은 연합·연대는 물론 통합 분위기를 띄우며 정치권의 시각을 집중시키고 있다.
바른정당과의 통합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최근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를 만나 통합 가능성을 타진했으며, 국민의당 김동철 원내대표도 주 원내대표를 만나 각 당이 소속 의원들의 의견을 청취해보는 것에 대해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지역·이념적 기반이 확연히 다른 양 당이 실제 통합을 이루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상당수다.
이에 양 당은 통합 가능성을 열어둔 채 정책연대를 구성하며 국회에서의 캐스팅보트 역할을 확고히 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바른정당 전대 출마를 선언한 유승민 의원은 22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바른정당이 가고자 하는 이 개혁보수의 길을 같이 가겠다면, 누구든, 언제든 환영한다”며 국민의당과의 동행 가능성을 열어놨다.
이런 가운데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의 보수 통합론도 국감 이후 본격적으로 결실을 볼 것으로 보인다. 바른정당 김무성 의원을 필두로 김영우 국방위원장(포천·가평) 등 통합파 의원들은 다음 달 13일 예정된 바른정당 전당대회 이전 한국당에 입당하는 것을 기정사실화한 상태다.
변수는 한국당의 박근혜 전 대통령과 옛 친박계 인사들에 대한 청산 문제다. 지난 20일 한국당 윤리위원회는 박 전 대통령과 서청원(화성갑)·최경환 의원에 대한 탈당 권유를 의결하며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의 입당 명분을 만들었다.
하지만 당의 이러한 결정에 서·최 의원은 물론 옛 친박계 의원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이 실제 행동으로 나설 타이밍이 지체될 가능성도 있다.
민주당과 국민의당의 연대 혹은 협력관계도 지속적으로 나오지만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것이 정치권의 시각이다.
인사청문과 각종 입법 과정에서 국민의당 협조의 중요성을 깨달은 민주당은 향후 국민의당과의 보다 강한 협력 모델 구상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호남의 표심을 두고 경쟁을 하고 있는 두 당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완벽한 연대를 구축하기란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구윤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