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정비 미흡 인천공항 항공기 출발지연 급증, MRO단지 조성 필요성 제기

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하는 항공기들이 정비불량 등으로 지연·결항되는 사례가 급증하면서 인천공항 인근에 계획된 항공정비단지(MRO) 조성사업이 하루빨리 진행돼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22일 인천공항공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인천공항에서 발생한 항공기 지연·결항이 모두 3천600건(지연 3천362건, 결항 238건)에 달해 국내에서 운영 중인 공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항공기 지연·결항 원인의 대부분은 항공기 정비 미흡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학재 의원(바·인천 서구갑)은 같은 기간 아시아나항공이 1천51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한항공 1천301건, 제주항공 672건, 에어부산 649건, 이스타항공 454건 순이라고 제시했다.

 

문제는 인천공항 내에 자체 항공기 정비시설이 크게 부족하다는 점이다. 대한·아시아나항공 등 양대 항공사는 인천공항 내에 자체 정비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시설 부족으로 연간 6천400억원에 이르는 해외 항공정비 외주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LCC(저가항공사)의 경우 이달 중 소형여객기 2대를 수용할 수 있는 정비고가 문을 열지만 인천공항에 취항하는 모든 LCC가 필요한 정비를 받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이렇다보니 인천공항 제4활주로 인근 114만㎡에 달하는 부지에 계획된 MRO단지 조성사업이 속도를 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인천공항공사가 올해 초 비정규직 정규직화 방안을 제시하면서 MRO 사업 추진을 통한 신규일자리 창출을 공언했지만 인천시와의 상생협약 체결이 지연돼 아직까지 사업은 구상단계에만 머무르고 있다.

 

반면 경쟁지역인 경남도는 도의회, 사천시, 시민단체, 전문가 등을 망라한 TF팀을 구성, 최근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방산비리로 멈춰선 경남 사천공항 기반 MRO 사업 재개를 위한 조직적 대응에 나서고 있어 대조를 보이고 있다.

 

이학재 의원은 “정비결함은 항공기 운항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항공안전과 인천공항의 허브공항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항공정비단지를 조속히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