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 체육시설 68.4% 안전사각지대

경기·인천 체육시설 68.4%가 올해 정기 안전점검을 받지 않아 안전사각지대인 것으로 드러났다.

 

2014년 경주 마우나리조트 체육관 붕괴 참사가 일어난 지 4년이 다 돼 가지만 체육시설 안전점검은 여전히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22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의원이 국민체육진흥공단으로부터 받은 ‘2017 체육시설 정기 안전점검 실시 현황’에 따르면 올 9월까지 정기 안전점검을 실시한 시설은 전국의 2만 3천93개소로 전체 대상시설의 33.9%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대상시설이 가장 많은 경기도의 점검율은 평균에 훨씬 못 미치는 26.2%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천 37.0%로 나타났다.

 

문화체육부는 마우나리조트 체육관 붕괴사고 이후 체육시설 안전관리 문제가 대두되면서 2015년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을 개정·시행했고, 지난해에는 체육시설 안전관리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관련 지침에 따르면 지자체의 체육시설 안전점검 담당자는 6개월마다(연 2회) 체육시설에 대한 정기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결과를 체육시설정보관리종합시스템에 입력해야 한다. 하지만 시행 첫 해를 맞아 올해 9월까지 체육시설 정기 안전점검이 이뤄진 시설은 40%에도 미치지 못한 것이다.

 

한편, 경기도내 3천746곳 체육시설 안전점검 결과 수리가 필요한 시설은 136개소이고, 1곳(광주 직동 족구장)은 사용을 즉각 중지해야 하는 시설로 드러났다.

 

인천은 점검을 받은 1천544곳 중 수리가 필요한 시설은 40곳이고, 3곳은 이용제한(긴급한 보수·보강 필요) 판정을 받았다.

 

부평구 원적산체육공원테니스장과 갈산근린공원테니스장, 희망체육공원인라인스케이트장으로 이중 갈산근리공원테니스장은 철거했고, 원적산체육공원테니스장과 희망체육공원인라인스케이트장은 10월과 11월 각각 철거예정이다.

 

박 의원은 “마우나리조트 참사 이후 체육시설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우려와 관심은 커지고 있는데 반해 관련 공무원들의 안전의식은 여전히 부족하다”며 “법률 개정으로 의무화한 정기 안전점검제도 정착을 위해 개선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