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 지사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당 중앙당사에서 진행된 ‘국민정치아카데미’ 특강에서 “개혁보수의 길이라는 애매한 말로는 부족하다. 왜 통합을 하는지를 국민에게 설명이 가능하고 당원들의 동의를 얻는 과정도 거쳐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통합을) 우리가 왜 해야 하는지를 얘기하고 국민에게 설명해야 한다. 이게 가치다. 가치가 분명히 선 다음에 ‘무엇을’, ‘어떻게’가 나와야 한다”며 “왜 해야 하는지 우리 스스로 설득되고 국민이 공감하면 그 길이 지지를 받게 되지만 ‘무엇을’, ‘어떻게’가 먼저 나오면 국민은 그것을 야합이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남 지사는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이 국민의당과의 통합 조건으로 햇볕정책 포기를 언급한 데 대해서는 “햇볕정책을 표방하는 국민의당에 햇볕정책을 버리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한다면 (통합은) 못 하는 것”이라며 “배제의 정치를 하지말자”고 꼬집었다.
아울러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간 통합 논의에 대해서는 “(논의의) 상당 부분은 문재인 대통령이 만들었다”며 “양극의 정치를 하면 중도가 사라진다. 통합의 정치로 갔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문 대통령이 통합의 정치를 하지 않고 민주당 내부의 통합만 이뤘다”며 “촛불 통합도, 탄핵 통합도 아니다. 역사를 드라마틱하게 발전시킬 수 있었는데 안타깝다”며 연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한국당이 박근혜 전 대통령과 옛 친박(친 박근혜)계 의원들의 출당 문제를 놓고 내분을 겪는 것과 관련, 남 지사는 “주시하고 있고 홍준표 대표가 하는 싸움이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며 “우리가 친박청산이 이뤄지지 않아 나온 것인데 시작을 했다는 것에 대해 평가하고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 흐름이 한국당 내에서 과거 국정농단 세력과의 절연으로 갈 수 있다면 한국당과 바른정당의 협력도 배제된 게 아니다”며 “그런 의미에서 국민의당과도 열어놓고 대화하면서 어떤 길로 갈 것인지 내부 토론을 해야 한다. ‘이 당과는 죽어도 안 된다’, ‘이 당하고만 합치겠다’는 길은 없다”며 양쪽 모두 가능성을 열어놨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