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 대출자 1인당 평균 부채금액이 박근혜 정부 기간 2천만 원가량 급증하면서 7천75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의원(구리)이 한국은행의 106만 명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6월 기준 가계부채를 가진 대출자의 1인당 평균 부채금액은 7천747만 원이었다.
이는 지난 2012년 5천819만 원에서 1천928만 원(33.1%) 증가한 금액이다. 50대의 평균부채가 9천195만 원으로 가장 많았지만 평균 부채금액 증가율은 30대가 48.9%(4천967만 원→7천398만 원)로 가장 높았다.
성별·신용등급별·대출기관별 평균 부채금액은 남성대출자와 고신용 대출자, 대출기관 3개 이상인 다중 채무자의 평균 부채금액이 높았다. 올해 6월 기준 여성 대출자의 평균 부채금액은 6천642만 원이었던 반면 남성 대출자는 8천567만 원에 달했다.
신용등급별로는 고신용 대출자의 평균대출금액 증가율이 31.3%로 가장 높았고 중신용 대출자는 21.8%였다. 저신용 대출자의 경우 평균 부채금액이 4.6% 줄었다.
대출기관이 3개 이상인 다중채무자의 평균 부채금액은 1억 1천672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대출기관 2개의 복수채무자(9천961만 원), 대출기관 1개 채무자(5천348만 원) 등의 순이었다.
윤 의원은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통해 가계소득을 높여 근본적인 부채 수요를 줄이고 가계의 부채 상환능력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