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의원 중심 반발 거세… “통합 아닌 정책연대 우선 논의해야” 공감대
국민의당이 25일 바른정당과 당 대 당 통합이 아닌 정책연대를 우선 논의하기로 가닥을 잡으면서 열흘간 정치권을 뜨겁게 달군 ‘중도통합론’이 멈춰섰다.
안철수 대표와 측근 인사들은 최근 중도통합의 필요성을 제기했지만 호남 의원들을 중심으로 당내 반발이 거세지자 잠시 숨 고르기에 들어간 양상이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 국민의당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는 중도통합론 논의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손금주 수석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최근의 통합론에 대해서는 언론에서 과하게 다뤄진 측면이 있어 국정감사가 끝나고 정책연대·선거연대 등과 관련해 당내에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교환하자는 데 뜻이 모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지향점을 같이하는 부분과 관련해 정책연대, 선거연대부터 공감대를 이루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데 다들 동의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호남계 중진 의원들은 안 대표의 중도통합 드라이브를 겨냥, 쓴소리를 쏟아낸 것으로 전해졌다. 박지원 전 대표는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국정감사에 매진하도록 분위기를 만들어야 하는데 왜 당내 문제로 의원들 정신을 빼느냐는 발언을 했다”며 “국감이 끝나고 나서 강한 토론을 통해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동영 의원 역시 “통합이 아닌 정책연대·가치연대를 먼저 제대로 해야 한다는 데 지도부나 의원들이 공감했다”며 “선거연대까지 갈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만 선거연대를 앞에 놓아서는 안 된다. 이는 마차를 말 앞에 놓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다만 양당이 공부모임인 ‘국민통합포럼’ 등 정책연대의 틀을 마련한 데다 일부 의원들 사이에서 ‘공동 정책협의체’ 구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향후 중도통합론이 다시 시동을 걸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바른정당 하태경 의원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통합포럼 세미나에서 “양당의 정책위원회와 정책연구소가 1주일에 한 번 정도 모여 공동 정책을 생산해 정국 주도권을 잡자”며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당 이언주 의원(광명을)은 “정책 공조의 긴밀성을 강화하고 공동 가치를 면밀히 찾아나가는 작업에 박차를 가하자는 공감대는 이미 있다”며 “구상을 구체화하도록 하겠다”고 화답했다.
송우일·구윤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