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보증 편의 봐주고 임직원들 향응 받아… 국감서 뭇매
채용공고에 학력제한 차별없다 해놓고 학교별로 점수도 매겨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설립된 중소기업진흥공단과 기술보증기금의 일부 임직원들이 대출과 보증 등에 편의를 제공해주는 대가로 향응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채용 비리 의혹으로 오명을 쓴 중소기업진흥공단은 학력제한이 없다던 채용공고와 달리 내부적으로는 출신학교까지 자의적 등급에 따라 차별을 뒀던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소속 의원들은 중진공의 채용부정과 금품 수수 비리 등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 송기헌 의원이 중진공으로부터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3명의 임직원이 금품수수와 자금지원 부적정의 사유로 면직됐다.
중진공 사업처장 A씨는 지난 2015년 ‘차이나 하이웨이’(중국 수출지원사업) 수행기관 업체로부터 신용카드를 넘겨받아 21개월 동안 5천여만 원의 돈을 썼다. 특히 자녀 쌍꺼풀 수술비와 유흥비 등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본부에서 근무하던 B씨는 공장 건축자금 및 설비자금 대출에 대한 편의를 제공하는 대가로 2012년부터 27개월 동안 640여만 원의 금품을 받았다. 한 중소기업의 공장 신축 및 설비자금으로 43억 원을 대출받게 해준 대가로 고가의 차량 1대를 받기로 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중진공은 학력제한이 없다던 채용공고와 달리 내부적으로는 출신학교까지 자의적으로 등급을 나눠 차별을 둔 것도 드러났다.
중진공은 지난 2009년 전까지 대학입시 배치표 자료를 활용해 대학 및 학과별 차등 점수표를 작성해 운영했다. 이후 2014년까지 입사지원서를 기반으로 한 서류평가에서 대학별 차등 점수를 적용해 운영해 왔다.
소위 ‘스카이’ 대학 등 최상위권 6개교는 만점, 중앙대ㆍ경희대 등 차상위권 7개교는 14점, 비수도권에선 부산대ㆍ경북대 등 국립대와 영남지역 일부 사립대가 12점으로 최고점이었지만, 대다수는 10점보다 낮았다. 하지만, 2013년 하반기 신입직원 채용 당시 중진공은 행정직·스펙초월소셜리크루팅 부문에 학력 및 연령 등 제한이 없다고 공고를 냈다.
이찬열 의원은 “공공기관이 겉으로는 학력 제한이 없다고 공고를 내놓고 내부적으로는 출신 학교까지도 자의적 등급에 따라 차별을 둔 것은 수많은 응시자를 기만하는 행위”라며 “이런 일이 두 번 다시는 재발하지 않도록, 공정성ㆍ투명성 강화를 위한 대책을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