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외자유치 ‘포스트 차이나’ 전략 적중… 사드보복 ‘無風’

싱가포르 등 ‘중화권’ 공략 외국인 직접투자 신고액 ↑
3분기 21억3천만달러 기록 지난해 동기比 93%나 급증

경기도가 사드배치로 인해 투자에 어려움을 겪는 중국을 대신해 싱가포르 등 중화권을 집중 공략, 도내 직접 투자를 이끌어내는 등 ‘투자유치 다변화 전략’이 괄목할만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경기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올 3분기 외국인 투자동향을 보면 지난 9월 말 현재 국내 외국인 직접투자 신고액은 135억9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7% 감소했다. 도착액은 8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했다. 신고액이란 투자 의향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착액은 실제 투자가 진행된 경우를 말한다.

 

이 중 경기도의 신고액은 21억3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11억 달러 대비 93%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도착액 역시 10억3천만 달러로 전년도(6억1천만 달러)에 비해 68% 증가했다.

 

이에 대해 도는 ‘투자유치 다변화 전략’이 성과를 발휘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싱가포르는 올해 반도체 핵심 물질 제조 글로벌 기업인 버슘 머트리얼즈가 9천300만 달러를 투자하는 등 총 8억400여만 달러를 신고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5천만 달러에 비해 16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앞서 도는 지난 2월 싱가포르 현지 자동차 부품 강소기업인 ‘PG 오토모티브 홀딩스와 1억 달러의 계약을 시작으로 4월 남경필 경기지사와 도 대표단이 직접 싱가포르를 방문해 버슘 머트리얼즈와 투자유치 MOU를 맺었다.

당시 도 대표단은 세계 최대 화교네트워크인 싱가포르 중화상공회의소(SCCCI) 롤랜드 응 회장과도 투자통상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 밖에도 도 대표단은 싱가포르 국제기업청(IE Singapore)에 경기도로의 투자를 요청하는 등 싱가포르 기업 투자 유치를 적극 추진한 바 있다.

 

임종철 도 경제실장은 “사드 보복 영향으로 대중국 직접투자 유치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동남아 등 중화권 투자유치를 추진한 경기도의 투자유치 다변화 전략이 어느 정도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오는 11월 싱가포르에 문을 열 예정인 ‘GBC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이 지역에 대한 투자유치를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의 경우 올 3분기 중국 직접 투자 신고액은 2천600만 달러, 도착액은 2천200만 달러로 확인됐다. 이는 사드배치가 논의되기 전인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신고액(1억4천500만 달러)과 도착액(6천만 달러) 모두 크게 감소했다.

한진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